"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공중폭격 피해는 전쟁범죄 결과"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공중폭격 피해는 전쟁범죄 결과"

해외뉴스 0 284 0 0
IE003180247_STD.jpg?67

 
사단법인 평화통일교육문화센터는 커먼즈필드 대전 모두의 공터에서 지난 20일 오전 10시 '정전협정 체결 70주년 기념 학술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이번 심포지엄은 '대전 민간인 학살 사건과 미국 책임'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심포지엄은 40여 명의 참석자가 함께하였으며, 박규용 대전골령골대책회의 상임대표와 전미경 대전산내사건희생자유족회 회장이 인사말을 전하며 시작되었다.

"미군, 제주도민의 대향학살 과정에도 개입"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심규상 대전골령골대책회의 정책위원장은 '대전 산내 골령골 사건에서의 미국 책임'을 주제로 발표했다.

심 위원장은 "1950년 6월 28일부터 7월 17일 새벽사이 대전형무소와 재소자와 보도연맹원이 살해됐다"며 "2022년 골령골 2학살지(2지점)에 대한 유해 발굴로 최소 4천여 명 이상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작전지휘권을 유엔군에 넘기기 전에도 500명의 주한미군군사고문단이 한국군의 상층부를 장악하고 있었고 앞서 임시군사고문단은 제주 4.3사건 당시 제주도민의 대향학살 과정에도 깊숙이 개입했다"며 미국의 책임을 강조하였다.

또한 "산내골령골 학살 당시 미국은 학살을 묵인 방조하였고, 학살이 <데일리 워커(Daily Worker)>의 앨런 위닝턴(Alan Winnington) 기자에 의해 세상에 알려지자 부인하고 은폐했으며 나아가 1953년 당시 마크 클라크 유엔군사령관은 유엔총회에 제출한 '공산주의자들의 만행이 어떠한 것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국군에 의한 산내골령골 학살을 마치 북한군에 의한 학살인 것처럼 왜곡시켰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고 재차 주장했다.

"미군의 민간인 폭격 사건, 모두 밝혀내야"
 
IE003180254_STD.jpg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