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파병 피하려 탈영…과거 북한행 택한 주한미군들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베트남 파병 피하려 탈영…과거 북한행 택한 주한미군들

실시간뉴스s 0 280 0 0
베트남 파병 피하려 탈영…과거 북한행 택한 주한미군들[앵커]미군 장병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견학하다 북한으로 넘어간 사실이 알려지면서, 미국인의 과거 월북 사례도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이번 사건처럼 한국에 배치된 미군이 자기 의지로 북한행을 선택하는 일은 드물지만, 처음은 아닌데요.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1962년 8월 주한미군으로 일하다 비무장지대를 통해 북한으로 건너간 제임스 드레스녹 이병.북한 선전 영화에 자주 등장하다 2016년 별세했는데, 월북 후 낳은 두 아들도 미국을 비난하는데 앞장서 눈길을 끌었습니다.그로부터 3년 뒤, 베트남전에 파병될까 두려워 DMZ 근무 중 북한으로 탈영한 로버트 젠킨스 하사 또한 널리 알려진 인물.일본인 납치 피해자와 결혼해 두 딸을 뒀고, 39년간의 북한 생활을 마무리한 뒤 일본에서 살다가 77세를 일기로 숨을 거뒀습니다.북한은, 젠킨스 역시 자신들의 체제 선전에 이용했습니다.<로버트 젠킨스 / 주한미군 탈영병> "오늘은 제 인생 마지막 장의 첫날입니다. 아내, 아이들과 함께 여생을 보낼 곳은 바로 일본 '사도'라는 섬입니다."1982년 M16소총을 들고 군사분계선을 넘었던 미육군 2사단 소속 조셉 화이트 일병의 가족들은, 그가 3년후 청천강 수영 중 익사했다는 통보를 받았습니다.한편, 트래비스 킹 이병의 석방 문제를 계기로, 미국과 북한 사이 외교적 대화가 성사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립니다.현재 미 국방부는, JSA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 채널을 통해 북한군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됩니다.과거 북한에 억류된 자국민을 데려오기 위해 미 고위급 인사들이 방북했던 점도, 이같은 가능성을 점치게 하는 배경입니다.그러나 북한의 잇단 고강도 도발 속 북미간 군사적 대치가 심화한 상황인데다, 킹 이병이 자발적으로 북한행을 택했다는 점에서,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 (sunny10@yna.co.kr)#주한미군 #북한 #월북 #공동경비구역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끝)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