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는 29년 만에 해냈다, 롯데-한화-키움은 얼마나 걸릴까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LG는 29년 만에 해냈다, 롯데-한화-키움은 얼마나 걸릴까

OhMy 0 202 0 0
쌍둥이가 해냈다. 프로야구 LG 트윈스가 마침내 29년 만의 우승이라는 한을 풀어냈다. 오랜 세월 '무관'의 꼬리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던 동병상련들에게는 자극과 희망을 남기는 순간이었다.
 
LG는 지난 13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kt와의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6-2로 승리하며 시리즈 전적 4승 1패로 우승을 확정했다. 정규리그 1위(86승 2무 56패)를 차지했던 LG는 한국시리즈까지 석권하며 1994년 이후 무려 29년 만의 감격스러운 통합 우승이었다. 우승이 확정된 순간 오랜 시간을 기다려온 선수, 감독, 구단주, 팬들까지도 서로 얼싸안고 눈시울을 붉혔다. 1995년 이후 태어난 '엘린이'들에게는 LG의 우승을 라이브로는 생애 처음으로 목격하게되는 감격적인 순간이기도 했다.
 
LG는 프로출범 원년부터 전신인 MBC 청룡(1982-1989)을 거쳐 1990년 럭키금성그룹(현 LG)에 인수되어 KBO리그 총 42시즌의 역사를 이어왔다. 첫 전성기는 창단 초기였던 1990년대로 이른바 '신바람 야구'를 표방하여 리그 최고의 인기구단으로 부상했고, 1990년과 1994년, 두 차례의 통합우승을 거머쥐었다.
 
하지만 1994년을 끝으로 LG는 21세기로 바뀔 때까지 정규리그-한국시리즈 우승과 인연을 맺지못했다. 한국시리즈에서는 3번(1997-1998, 2002) 더 진출했지만 당시 막강 전력을 구축한 해태, 현대, 삼성 등에 밀려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특히 2002년 준우승 이후로는 '암흑기'에 접어들며 10년 연속 가을야구 진출 실패(2003-2012)'라는 '잃어버린 10년'을 겪어야했다.

21세기들어 LG는 2013년(2위)부터야 다시 가을야구 무대를 밟기 시작했다. 이후 2022년까지 LG는 7번이나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하며 '중흥의 10년'을 맞이했다. 하지만 번번이 우승은 쉽게 허락되지 않았다. 잠실구장을 같은 홈으로 쓰는 '한 지붕 두 가족' 두산은 2000년대 이후에만 4회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비롯하여 가을야구 단골손님으로 자리매김하면서 LG의 무관이 더 초라해보일 수밖에 없었다.
 
LG가 20세기 마지막으로 우승을 차지했던 1994년은 당시 김영삼 대통령의 문민정부 2년차였다. 그로부터 정권만 6차례(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윤석열)나 바뀌었다. 1994년 이광환 감독 이후 염경엽 감독 이전까지 우승 프로젝트에 실패하여 LG를 빈손으로 떠난 감독만 11명에 이른다. 이병규-박용택같이 영구결번까지 받았던 LG 레전드들은 결국 유니폼을 벗을 때까지 한국시리즈 우승 트로피와 인연을 맺지 못했다.
 
특히 암흑기를 전전하던 시절에는 야구 팬들의 전국구 먹잇감으로 전릭하여 수많은 유행어와 패러디의 산실이 되기도 했다. 비슷한 시기에 함께 암흑기를 보냈던 KIA-롯데와 함께 '엘롯기 동맹'이라는 신조어로 묶인 것을 비롯하여 콩클리쉬인 'DTD'(Down Team is Down,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 '탈쥐효과(LG에서 못하던 선수들도 딴 팀만 가면 잘한다.) '입쥐효과(딴 팀에서 잘하던 선수도 LG만 오면 못한다)', '도련님 야구' '감독들의 무덤' 등 온갖 조롱섞인 놀림감이 되기 일쑤였다.
 
하지만 LG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자양분삼아 꾸준히 변화와 혁신을 멈추지 않았다. 최근 몇 년간 거액의 투자를 단행하며 FA로 영입한 김현수-박해민-박동원 등은 팀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LG의 FA 먹튀 징크스를 끊어냈다. 외국인 에이스 플럿코가 중도에 이탈하는 악재가 있었지만 케이시 켈리와 오스틴 딘이 제몫을 다하며 외국인 농사도 성공했다.
 
외부 영입에만 의존했던 것도 아니다. 주장이자 한국시리즈 MVP를 차지한 오지환을 비롯해 임찬규, 고우석, 홍창기, 문보경, 문성주, 신민재 등은 모두 LG가 자체적으로 키워낸 선수들이다. LG 프런트는 한때 팬들로부터 증오의 대상이었으나, 1994년 우승멤버였던 차명석 단장이 부임한 이후 환골탈태하며 과감한 투자와 육성의 조화를 바탕으로 팀 재건의 기틀을 마련했다.
 
LG의 마지막 화룡점정은 염경엽 감독의 영입이었다. LG는 지난 시즌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한 이후 프랜차이즈 출신 류지현 감독과 과감하게 결별하고 염 감독을 영입했다. 염 감독은 키움과 SK에서 능력을 인정받은 베테랑 감독이었지만 정작 한국시리즈 우승과는 인연이 없었다. 직전 SK 감독 시절의 실패, 10여년전에는 LG 코치와 프런트로서 팀 암흑기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혹평을 받으며 LG 팬들에게조차 이미지가 좋지 않았던 감독이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