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세 최연소 영부인'은 왜 미라가 돼야 했나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26세 최연소 영부인'은 왜 미라가 돼야 했나

sk연예기자 0 213 0 0
IE003188144_STD.jpg?20230809165511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퍼스트레이디' 에바 페론(Eva Perón, 1919-1952)은 아르헨티나의 여배우이자 정치인, 영부인이었으며, 애칭인 '에비타(Evita)'로도 유명하다. 불과 33년의 짧은 생애 동안, 가난하고 불우했던 환경을 딛고 국민적 사랑을 받는 '에비타 신드롬'의 주인공까지 된 그녀의 파란만장한 인생은 그 자체로 한 편의 드라마였다.
 
하지만 지나친 신격화의 부작용으로 사후 에비타의 시신은 '미라'가 되는 수난을 겪기도 했으며, 이른바 '페론주의'로 알려진 에비타 대통령 부부의 정책들은 오늘날 '가난한 사람들의 영웅'에서 '포퓰리즘을 악용한 대중 독재정치의 시발점'에 이르기까지 극과 극의 평가를 받고 있다. 과연 에비타의 실제 모습은 성녀와 악녀, 그 어디쯤에 있을까.
 
혼외자로 태어나 배우가 되기까지...

8월 8일 방송된 tvN <벌거벗은 세계사> 111회에서는 '미라가 된 국민영웅, 아르헨티나의 에비타'편을 통하여 에바 페론의 일대기를 조명했다. 박구병 아주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이날의 강연자로 나섰다.
 
에비타는 1919년 5월 7일 아르헨티나 팜파스에 위치한 로스톨도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1남 4녀의 막내로 태어났다. 에바의 아버지는 부유한 농장주였지만 그녀는 불륜으로 태어난 혼외자였다. 아르헨티나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목장 경영이 어려워진 아버지는 자녀들을 버리고 본처에게 돌아가버렸다. 하루아침에 궁핍한 처지로 내몰린 에비타와 형제들은 갖은 고생을 겪으며 주변으로부터 소외와 멸시를 당했다고 한다.
 
에비타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영화배우의 꿈을 키웠다. 1935년, 15세가 된 에비타는 가난과 불공평에서 벗어나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최대도시인 부에노스 아이레스로 떠나기로 결심한다.
 
5년 가까이 고난의 무명생활을 극복한 에비타는 1940년대 들어 당시 인기 라디오 드라마였던 <역사속 위대한 여인들>의 여주인공으로 발탁되면서 배우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한다. TV가 아직 대중화되기 전, 라디오는 가장 인기있는 대중매체였고, 에비타는 여러 라디오 드라마의 주연과 DJ를 맡으며 당대의 '라디오 스타'로 우뚝 섰다.
 
에비타의 인기비결이자 트레이드 마크는 단연 슬프면서도 호소력짙은 '목소리'였다. "우리는 조바심을 내며 드라마 시간을 기다렸고, 친구들과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그녀의 이야기를 나누곤 했다." 당시 에비타에 대한 청취자들의 실제 평가다. 훗날 정치인이 된 이후에도 에비타가 대중들에게 그토록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원동력이 바로 그녀의 목소리 덕분이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또한 에비타는 목소리만이 아니라 외모도 뛰어났다. 에비타의 유명세가 높아지면서 연예지 표지 등에 얼굴이 공개되자, 대중들은 그녀의 미모에 더욱 열광했다고 한다. 동료 여배우였던 아니타 호르단은 "에비타는 호수같은 눈, 붉은 입술, 부드러운 목련꽃같은 투명한 피부를 가졌다"며 그녀의 미모를 극찬하기도 했다.
 
1944년, 라디오 배우로서 전성기를 맞이하던 에비타의 인생에 두 번째 전환점이 찾아온다. 그해 1월 아르헨티나를 강타한 산후안 대지진이 발생하면서 아르헨티나 정부는 지진 피해자들을 돕기 위한 모금 행사를 열었다. 이곳에 참석했던 에비타는 한 남자를 만나게 된다. 바로 훗날 아르헨티나의 대통령이자 에비타의 남편이 되는 후안 도밍고 페론(1895-1974)이다.
 
1930년부터 아르헨티나는 군부세력이 정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당시 페론은 엘리트 군장교 출신이자 아르헨티나 최초의 노동복지부 장관을 역임중이던 군사정권의 라이징 스타였다. 지진 모금행사를 주최한 페론은 옆자리에 착석했던 에비타를 처음으로 만났다. 서로에게 한눈에 반한 두 사람은 무려 24세의 나이차이를 극복하고 사랑에 빠졌다.
 
에비타는 페론과의 만남 이후 정권 실세였던 그의 후원을 등에 업고 배우로서 더욱 승승장구했다. 에비타 역시 본인의 인기와 영향력을 활용하여 페론을 돕는 데 앞장섰다. 에비타는 자신이 활동하던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페론을 지지하는 연설문을 낭독하며 지원에 나섰다. 사실상 에비타가 본격적으로 정치에 입문하며, 페론의 연인을 넘어서 '정치적 동반자'의 길을 걷게 되는 순간이기도 했다.
 
실제로 아르헨티나의 노동자들이 페론을 지지한 데는 에비타의 영향력이 적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경제위기와 빈부격차 속에서 노동자들의 처우와 인권은 열악한 상태였다. 페론은 최저임금제-휴가제 도입-고용 보장-아기날도(Aguinaldo, 연말특별수당) 등의 과감한 친노동 개혁정책을 표방하며 노동자 세력의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페론의 입지가 강해지면서 반대파들 사이에서 견제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1945년 페론은 사회경제적 특권 계층의 '과두 지배'를 비판하는 격한 주장을 펼쳤다가 모든 직책에서 해임당했고 그해 10월 12일에는 체포까지 당하며 최대의 정치적 위기에 몰렸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