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해결도, 회사 생활도 시작은 '나를 아는 것'부터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문제 해결도, 회사 생활도 시작은 '나를 아는 것'부터

뉴스 0 228 0 0
1829530356_TvjBnCAZ_13357d54f67d7738dc6ccf6de71610ed12e5e81c.jpg
  
예전 EBS 다큐에서 상위 0.1% 학생과 일반 학생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실험을 본 적이 있다. 학생들에게 일정 시간을 부여해 특저 단어들을 외우게 하고 학생들에게 자신이 외운 단어의 숫자를 물었다. 

그 결과 상위 0.1%의 학생들은 자신이 외운 갯수에 대해 정확하게 인지하는 반면, 일반학생들은 자신이 실제 외운 것보다도 더 많이 외웠다고 답을 했다. 일반학생들의 실질 결과와 자신이 인식한 개수는 큰 차이를 보였다. 상위 0.1%학생들은 소위 '메타인지'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는 실험이였다. 메타인지(meta認知)란, 자기 인지 과정에 대해 한 차원 높은 시각에서 이를 관찰, 발견·통제하는 것을 뜻한다.

회사라는 곳은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내야 하는 곳이다. 문제라는 것은 난관이 존재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난관을 하나씩 풀어 나가야 문제가 해결된다.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실적이 바로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를 풀어야 성과를 낼 기회을 잡을 수 있다.

문제 해결은 '나'로부터 시작된다.
자신을 알고 남들이 자기를 어떻게 보는지 아는 사람들이 더 행복하다는 사실은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그들은 현명한 결정을 한다. 개인적 인간관계나 직업상 인간관계도 좋다. 그들은 자녀를 성숙한 사람으로 키워낸다. 그들은 똑똑하고 우수한 학생이며 진로 선택도 더 잘한다. 그들은 창의적이고 자신감이 넘치며 소통도 잘한다. 그들은 공격적 행동, 거짓말, 부정행위, 도둑질을 할 가능성이 낮다. 그들은 직장에서 많은 실적을 올리고 높은 직급까지 승진한다. 그들은 유능한 지도자로 직원들을 열성적으로 만든다. 그들은 회사의 수익까지 올려놓는다. - <자기통찰>, 타샤 유리크 지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회사 보고서에 가장 먼저 나오는 내용이 목적과 현황이다. 현재 상황들을 파악해야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문제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게 된다는 것이다.

현황 정리가 안 되면 현재의 문제점을 찾지 못한다. 현황은 지금 현재의 상황을 세밀하게 관찰해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인데 현황이 잘못 정리가 되면 문제의 원인을 엉뚱한 곳에서 찾을 수 있다. "내가 어디에 있고 무엇을 하고 있으며 왜 하고 있는지"를 파악해야 문제의 본질에 질문을 던지며 해결점을 찾아 갈 수 있다.

자신이 선 자리 파악하기

회사라는 곳은 업무를 통해 일을 배우고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다.  스스로의 노력만 있다면 일을 통해 지속적으로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본인의 열정과 노력 여하에 따라 자신의 성장의 폭이 달라질 수 있는 곳이 회사이다.

하지만 회사라는 곳에서 편하게 안주하려 하면 그런 생활도 가능하다. 특히 업무가 세분화되어 자신의 일 외에는 다른 업무에 무관심할 수 있는 회사라면 하루 하루를 편하게 보낼 수도 있다. 무엇을 하던 월급은 꼬박꼬박 나오기 때문에 사람들은 편안함에 익숙해지며 그런 삶을 즐길 수 있다. 소위 '월급루팡'이 될 수도 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