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당쟁 때문에 망해? 그가 아직 살아 있구나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조선은 당쟁 때문에 망해? 그가 아직 살아 있구나

해외뉴스 0 1289 0 0
IE003169276_STD.jpg?20230626101518
   
한국학 연구에 큰 영향을 끼친 역사학자 중 하나가 이능화(1868~1943)다. 그는 불교·기독교·유교·도교뿐 아니라 여성사와 사회사에 관한 책들도 저술했다. 기생의 역사를 정리한 <조선해어화사>는 지금도 이 분야 연구에 활용된다.
 
그런데 그의 역사 연구는 일제 식민사관에 기초했다. 그는 한국 식민사학의 거두인 이병도 못지않은 인물이다. 식민사관의 산실인 조선사편수회에 근무한 기간만 봐도 그렇다.
 
이병도가 '역사를 엮고 가다듬는다'는 직책인 조선사편수회 수사관보(修史官補)로 일한 것은 1925년 8월부터 1927년 5월까지다. 그 뒤 그는 1938년 6월경까지 촉탁 신분으로 근무했다. 대략 13년간 조선사편수회에 몸담았던 것이다.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보고서> 제4-12권에 따르면, 이능화가 조선사편수회의 전신인 조선사편찬위원회에 들어간 것은 1922년 12월 28일이다. 이곳은 1925년 6월에 나온 '조선사편수회 관제'에 따라 조선사편수회로 바뀌었고, 그는 여기서 1942년까지 근무했다.
 
그가 그런 기관에만 가담했던 것은 아니다. 조선사편찬위원회에 들어가기 전에는 조선총독부 학무국 편수관과 교과서조사위원회 위원도 역임했다. 상당히 오랫동안 총독부의 관변 역사학자로 살았던 것이다.
 
거액을 벌어들인 것은 아니겠지만, 그 긴 기간 동안 일본 녹봉을 받으며 생활했다. 그 기간에 친일 재산을 쌓아가며 한국 역사를 편찬했다. 다른 나라 연구소도 아니고, 한국을 침략한 나라의 연구기관에서 한국사를 편찬했다. 그가 받은 봉급의 의미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일본 입장에서 보면, 그는 가성비가 높은 친일파였다. 일본이 녹봉을 준 기간도 짧지 않지만, 일본이 얻은 것은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많았다.
 
일본은 한국 강점 2년 뒤인 1912년 8월, 그에게 한국병합기념장을 수여했다. 3년 뒤 11월에는 요시히토 일왕(다이쇼 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을 수여했다. 1928년 11월에는 히로히토 일왕(쇼와 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을 부여했다. 이듬해 1월에는 훈6등 서보장을 서훈했다. 그랬다가 1940년 4월에는 조선사편수회에서 공을 세웠다는 이유로 히로히토 일왕의 은배를 수여했다.
 
20여 년간의 녹봉과 더불어 이 같은 치하의 표시는 이능화가 해준 것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그는 '조선이 망한 것은 당쟁 때문이었다'는 인식을 확산시켜 일제 침략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감을 누그러트리고 한국인들의 민족적 자긍심을 떨어트리는 데도 기여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