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영화제 사유화 논란, 중요한 게 빠졌다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부산영화제 사유화 논란, 중요한 게 빠졌다

sk연예기자 0 1123 0 0
IE003170506_STD.jpg?20230627171825
 
문화예술이 정치적 외압에서 자유로워야 한다는 건 정언명제에 가깝다. 국내 최대 영화 축제인 부산국제영화제 역사의 상당 기간은 바로 그 외압과의 투쟁으로 점철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세계 주요 영화제들과 어깨를 나란히하며 아시아 최대 영화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데엔 바로 그 독립성과 자율성을 지켜온 영화제 스태프들의 노력과 영화인들의 연대가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또다른 위기를 지내고 올해 본격적으로 기지개를 켜려던 부산영화제가 또 다른 논란에 휩싸였다. 이번엔 정치적 외압이 아닌 다른 형태의 외압 때문이다. 그간 사무국 운영과 프로그램 전반을 책임진 집행위원장 체제를 이원화하기 위해 집행위원장과 운영위원장으로 나누겠다는 복안을 발표한 직후부터다.

이사회를 거쳐 지난 5월 9일 총회에서 최종 통과된 안건대로 현 집행위원장이었던 허문영 위원장 곁에 조종국 위원장이 신임 운영위원장으로 위촉됐다. 그런데 일부 영화인들과 영화 단체가 반대 성명서를 내며 상황이 혼돈 속으로 빠졌다.
 
목소리를 낸 영화인들 중에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당시 외압 피해를 봤던 '블랙리스트' 피해자들도 있고 <다이빙벨> 상영으로 당시 서병수 부산시장을 비롯해 정부 차원의 압력을 겪은 부산영화제와 연대한 이들도 있었다. 그런 그들이 조종국 위원장의 사퇴를 외치며 부산영화제를 강하게 압박했고, 결국 지난 6월 26일 임시총회에서 조종국 위원장의 해촉 건을 비롯해 집행위원장 및 운영위원장 사고 시 직무대행 체제를 위한 규정도 개정했다.
 
목적을 넘어버린 수단
IE003167083_STD.jpg?20230627163007
 
이 사태의 원인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겠지만, 적어도 허문영 집행위원장의 돌연 사임이 큰 영향을 준 것을 부정할 사람은 없다. 총회 직후 허 위원장이 사퇴하면서 남긴 발언은 "심신이 지쳤다. 떠나는 사람이 무슨 할 말이 있겠나" 정도였고, 이로 인해 각종 추측이 시작됐다. '조종국 위원장 위촉 건에 충분한 교감이 없었다', '사실상 이원화 체제에 반대했다', '조종국 위촉 자체를 반대했다'는 등이 대표적이다.
 
이에 대해 그간 입장 표명이 없던 조종국 위원장을 <오마이뉴스>는 직접 만났고, 그도 작심한 듯 여러 발언을 쏟아냈다. (관련 기사: 조종국 부산국제영화제 운영위원장이 밝힌 논란의 전말). 핵심은 그가 영화진흥위원회 사무국장 시절, 혹은 부산영상위원회 사무처장 시절 부산 영화인과 일부 영화 단체와 소통 문제가 있었는데, 대부분은 청탁성 혹은 어떤 요구 등을 단호하게 대처한 사실이 갈등의 원인이라는 내용이었다. 그의 재임 시절 횡령이나 배임, 법규 위반 등의 문제가 벌어진 게 아니었다. 부산영화제 정관상 3대 해임 사유에 들지 않는 건 분명했다.
 
그렇다면 영화인들은 왜 그렇게 조종국 운영위원장에 대해 강하게 반대했던 것일까. 정지영 감독, 오동진 평론가, 제작자 이준동 대표 등이 SNS 등에 올린 글들을 보면, 이용관 이사장의 부산영화제 사유화 우려를 강하게 표하며 조종국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내용이 주였다. 

현 이사진을 중심으로 혁신위원회 준비위원회를 꾸린 것이 잘못이라거나(정지영 감독), 조종국 위원장 선임을 박형준 부산시장의 측근 선임으로 비유해 이용관 이사장의 사유화를 비판하거나(이준동 대표), 현 오석근 부산영화제 마켓운영위원장, 강승아 부집행위원장도 거취를 고민해야 한다는(오동진 평론가) 등의 내용이 그것이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