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제도가 잘 작동한 건 요행이었을지도"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전세 제도가 잘 작동한 건 요행이었을지도"

sk연예기자 0 1080 0 0
IE003168995_STD.jpg?20230625120816
 
지난해 말부터 전세 사기가 문제 되는 가운데 최근엔 집값 하락으로 역전세난도 발생하고 있다. 전세 사기가 이슈화된 건 지난해 말이지만 처음 알려진 건 2019년이다. 오래 되었는데 왜 이제야 이슈가 되는 걸까?

지난 20일 MBC < PD수첩 >에서는 '전세의 배신' 편이 방송되었다. 전세 사기로 세상을 떠난 피해자들 사례를 연이어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한 이날 방송에서는 부산의 오피스텔 전세 사기 피해자들 이야기와 함께 역전세난도 짚어 보았다. 취재 이야기가 궁금해 해당 회차를 연출한 김영원 PD와 지난 22일 전화 연결했다. 다음은 김 PD와 나눈 일문일답 정리한 것.    

"안전한 전세 구하려면 경매까지 생각하라더라"

- 지난 20일 방송된 MBC < PD수첩 > '전세의 배신' 편 연출하셨잖아요. 방송 끝낸 소회가 어때요?
"전세 사기에서 나아가서 역전세 그리고 전세 제도의 문제까지 다루자는 생각에 출발했어요. 사실 전세 사기 다룬 방송은 그동안 많았기 때문에 그 사건을 깊이 들어가기보다 왜 이런 사건들이 반복되고 전세 제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깊이 있게 들어가고 싶었는데 현장 취재를 나가 보니까 피해 입으신 분들의 사연은 다 굉장히 절박해서 그걸 짧게 갈 수가 없었어요. 그렇다 보니 사건에 대한 얘기 비중이 좀 더 커졌고 반대로 전세 제도의 문제에 대한 얘기는 하고 싶은 만큼 담지 못해서 아쉬움이 남는 회차였습니다."

- 전세 사기와 역전세에 대한 취재는 어떻게 하게 되셨어요?
"늘 그렇듯 여러 아이템을 보다가 지금 가장 시의성 있게 다룰 수 있는 주제라고 생각해서 고르게 됐던 게 있고요. 인천 미추홀구 사건이 작년 말쯤부터 공론화되고 지금 목숨 끊으신 피해자분들이 계속 나오시죠. 그래서 한번 종합적으로 짚어볼 때가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고요. 거기다가 < PD수첩 >의 경우 2019년부터 이런 전세 사기 사건을 계속 다뤄오다 보니 저희는 그동안 계속 다뤄왔다는 걸 보여주면서 왜 이렇게 반복되는지 얘기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고 생각했어요."

- PD님은 전세 사기에 대해 관심이 있었나요?
"저도 직장생활을 시작한 지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고 자가가 없고 하다 보니 전세 살거나 반전세, 월세를 살거든요. 그래서 제 자신에게도 굉장히 와닿는 주제였고요. 전세가 위험하다는 걸 < PD수첩 >에서 계속 다루다 보니까 전세 사기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기는 해요."

- 그럼, 이번에 취재하며 생각이 달라진 부분이나 새롭게 안 부분이 있나요?
"그동안 전세가 위험하다는 걸 추상적으로 알았다고 해야 될까요. 그냥 위험하다는 정도 알고 있었는데 전세 자체에 굉장히 사금융으로서의 성격이 있어서 본질적인 위험성이 있다는 건 이번에 깨닫게 된 것 같고요. 그리고 전문가 중에 이런 얘기를 하셨거든요. 안전한 전세를 구하려면 일단 어떻게 해야 되냐면 이게 100% 안전해지는 방법이 아니겠지만 일단 전세 구할 때 이 집이 경매에 넘어갈 수 있다는 걸 생각하고 구하라는 거예요. 그게 저는 충격적으로 다가왔어요."
IE003169054_STD.jpg?20230625120816
 
- 전세 구할 때 이 집이 경매에 넘어갈 수 있다는 걸 생각하고 구하라라는 게 무슨 말인가요?
"우리는 집주인이 어떤 신용 상태이고 어떤 채무를 지고 있다는 걸 100% 확인할 수 없으니까 전셋집을 들어갈 때는 항상 그 집이 위험할 수도 있다는 생각과 최악의 경우 이 집이 집주인이 돈 안 갚아 경매에 넘어갈 수 있는데 그때 내가 내 보증금 다 보전받을 수 있느냐는 걸 기준으로 전셋집 구하라고 하시더라고요."

- 프롤로그에서 전세 사기로 세상을 떠난 피해자들 사례를 연이어 보여줬잖아요. 왜 이렇게 하셨어요?
"지금 시점에서 전세 사기 얘기를 저희가 또 하는 이유이기도 했고요. 사실 전세 사기 당했다고 하면 부주의해서나 잘 몰라서 사기 당한 거 아니냐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은데요. 이건 어쨌든 기본적인 주거권의 문제예요. 때문에 이것에 있어서 피해 당했을 때 목숨 끊을 만큼 절박한 상황에 놓이는 분들이 많은 거잖아요. 그걸 처음부터 깔고 가고 싶었어요."

- 전세 사기 의혹 제보 받았는데 부산에서 많이 들어온 것 같던데 왜 많았을까요?
"워낙 피해자가 많아서 그랬던 것 같아요. 일단 부산 'ㄱ' 하우스 'ㄴ' 하우스라고 저희가 가칭을 붙였었는데 그 오피스텔들 경우에는 지금 오픈 채팅방에 모여 있는 피해자만 250명이 넘고요. 저희가 등기부등본 떼서 해봤을 때 해당 임대인들의 명의의 집에 살고 계신 분이 419명 정도 될 걸로 보이거든요. 그러니까 애초에 굉장히 많은 피해자가 있고 대다수 원룸에 사시는 20~30대 사회 초년생이다 보니까 조금 더 방송에 제보하자고 힘 모으고 하셨던 것도 같아요."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