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기상도] 본업 살아나 맑은 기업 vs 장대비 내려 젖은 기업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기업기상도] 본업 살아나 맑은 기업 vs 장대비 내려 젖은 기업

실시간뉴스s 0 810 0 0
[기업기상도] 본업 살아나 맑은 기업 vs 장대비 내려 젖은 기업[앵커]2023년도 벌써 상반기가 다 지났습니다.정부도, 기업도 하반기 경기, 실적 되살릴 고민이 한창인 시점인데요.한 주 있었던 다양한 기업소식들, 기업기상도로 되살펴보시죠.김종수 기자입니다.[기자]한 주 기업뉴스 리뷰 주간 기업기상도입니다.올해 상반기 마지막 기업기상도입니다.정부가 기업들에게 투자 독려하며 다음주 시작될 하반기엔 정책의 무게추가 물가에서 경기 부양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 한 주, 맑고 흐린 기업 찾아 기업기상도 시작합니다.첫 맑은 기업 네이버,쿠팡입니다.전자상거래 장악도가 더 높아졌습니다.한 시장조사업체가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분석 자료를 냈는데요.가장 많이 쓰는 곳 물었더니 쿠팡이 37.3%로 1위, 27.2%의 네이버쇼핑이 2위였습니다.두 곳이 도합 65%인데, 양사 모두 1년 전보다 3%p 인상 늘었는데요.전자상거래 시장이 이 양대 강자 구도로 자리잡은 겁니다.다만, 진정한 빅2가 되려면 잦은 노동조건 문제, 늘 터지는 짝퉁 문제 같은 뉴스가 안나와야 한다는 것, 경영진들이 알아야 합니다.다음은 한국전력입니다.아직 갈 길 멀지만 희미하나마 희망이 보이고 있습니다.45조 손실이 쌓인 건 에너지값 폭등에 전기 구매비 뛰는데, 요금은 묶여 둘이 역전된 탓이죠.그런데 뒤늦게 2분기 요금 올리고, 발전사에서 전기 사오는 값 떨어지며 3분기엔 1조8,000억, 4분기는 1조5,000억원 이익 날 것 같다는 증권가 분석 나오기 시작했습니다.하지만 3분기 요금은 또 묶였고 전망대로 이익 나도 여전히 쌓인 손실 40조 넘습니다.장대비 면해도 부슬비는 계속 내립니다.이제 흐린 기업입니다.라면기업 농심,오뚜기,삼양식품,팔도로 시작합니다.경제부총리가 값좀 내리는 게 어떠냐고 콕 찍어 압박했습니다."국제 밀 가격이 그 때보다 50% 안팎 내렸다, 적정하게 내렸으면 좋겠다" 일요일 아침 전해진 경제부총리 라면 한 마디가 파장 낳았습니다.라면회사들은 라면을 밀로만 만드냐, 재료비 원가 반영 몇 달 걸린다 항변하는데 우군이 안보입니다.내수 절반 점유한 농심 1분기 영업이익이 86% 급증해 시선 따가운 탓입니다.특히, 정부가 하반기는 2%대 물가를 볼 것이라고 공언한 점, 먹거리값 폭등 국면에서 라면의 상징성 생각하면 더 그렇습니다.이번에도 정부 정책에 압박받는 곳, 메가스터디교육,디지털대성 등 학원 낀 메이저 사교육 기업들입니다."공교육 교과 과정에서 다루지 않는 분야 문제는 수능 출제에서 배제해야 한다",대통령 한 마디에 학원가에 폭풍 불고 있습니다.여론도 맞는 말이다, 수능시험 수준 언급은 시점상 안맞다 갑론을박 중인데요.중산층도 번 돈 못쓰고 빚까지 내 학원 보내는데 수백억 수입에 재벌급 초호화생활 즐기는 일타강사들 부각된 건 정부 압박을 예고하는 대목입니다.하루아침에 사교육 저물 일 없습니다.하지만, 학생도 줄고 있는데 고수익 원천인 킬러문항 사라지고 사교육산업에 정책적 압박 커지면 지금같은 호황은 힘들겠죠.다음은 GS건설입니다.공사 현장 무너져 돈 들고 체면 깎였는데, 담당 장관한테 못믿겠다는 소리까지 들었습니다.'순살자이', 검단 아파트 주차장 붕괴 뒤 네티즌들이 GS 아파트 뼈대 부실하다며 붙인 말이죠.GS건설이 전국 현장 점검해 유사사태 재발 막겠다고 다짐했는데,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이렇게 일침을 놨습니다."후진국형 부실공사를 한 GS건설의 셀프점검은 사회적 신뢰성을 담보하기 힘들다"여기에 야심차게 지은 서울 강남 재건축 아파트에서 입주 석 달 만에 커뮤니티 시설 등에 물 고여 논란인 건 덤입니다.마지막은 메리츠, KB, 삼성, NH투자, 키움, 미래에셋 6개 증권사입니다.공정거래위원회가 담합 조사 나섰습니다.수수료,금리 담합 조사한다는데요.금융 과점체제 지적한 윤석열 대통령 언급 뒤, 은행,보험에 이은 3번째 조사죠.그런데 증권에선 이들 대형사 먼저 조사 나선 게 예사롭지 않고요.특히, 주가 폭락 사태로 검찰, 금융감독원 조사 받는 소매 1위 키움은 공정위까지 3곳 동시 조사받게 됐네요.과거 빈 손으로 끝난 양도성 예금증서 금리 담합 조사에서 보듯, 금융 담합은 발견도, 법 위반 입증도 힘듭니다.어떤 성과 있을지 지켜보겠습니다.경기 부양으로 정책 중심 옮겨가도 물가는 계속 문제일 겁니다.체감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고 미국은 두 번 더 금리 올린다는 전망도 있죠.부양이 급하겠지만 급하다고 바늘 허리에 실 매어 쓸 순 없는 법입니다.지금까지 주간 기업기상도였습니다.PD 김선호AD 허지수송고 김종수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끝)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