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인의 PSG행이 갖는 의미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이강인의 PSG행이 갖는 의미

sk연예기자 0 604 0 0
또 한 명의 초대형 한국인 유럽파가 탄생했다. '골든보이' 이강인(22)이 마침내 프랑스 명문 파리 생제르맹에 공식 입성했다.
 
프랑스 리그앙 파리 생제르맹(이하 PSG)은 지난 7월 9일 이강인의 영입을 공식 발표했다. 계약 기간은 2028년까지이며 구체적인 계약 내용은 이적료는 공개하지 않았지만 현지 언론은 약 2200만유로(약 314억원)의 이적료에 이 중 약 20%가 이강인에게 돌아가며, 연봉은 약 400만유로(약 57억원) 수준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전 소속팀 마요르카에서 약 50만유로 정도를 받았던 것을 감안하면 2년 사이에 8배가 폭등한 것이다.
 
유럽에서 손꼽히는 빅클럽
IE003175541_STD.jpg?20230710092009
 
프랑스의 수도인 파리를 연고로 하는 PSG는, 1970년에 기존의 두 클럽인 스타드 생제르맹과 파리 FC를 병합하면서 출발했다. 비교적 짧은 역사에 2010년대 이전만 해도 리그 우승은 두 번뿐이었지만, 2011년 카타르 왕실 자본인 '카타르 스포츠 인베스트먼츠'에 인수된 이후 일약 '오일머니' 파워를 앞세워 세계적인 선수들을 싹쓸이하면서 일약 유럽에서 손꼽히는 빅클럽으로 성장했다.
 
PSG는 2010년대 이후에만 9번의 우승을 추가하며 리그앙 통산 최다 우승팀(11회)의 반열에 올랐다. 각종 컵대회까지 합치면 카타르 인수 이후 수집한 우승트로피는 무려 30개에 이른다. 리오넬 메시(아르헨티나)를 비롯하여 킬리안 음바페(프랑스), 네이마르-티아고 실바(브라질),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스웨덴), 앙헬 디 마리아(아르헨티나), 에딘손 카바니(우루과이) 등 쟁쟁한 월드클래스 슈퍼스타들이 대거 PSG를 거쳐갔다.
 
하지만 흔히 유럽을 대표하는 최고 빅클럽으로 꼽히는 레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바이에른 뮌헨, 맨체스터 시티같은 구단에 비하여 유일한 아쉬움은 아직 유럽 챔피언스리그(UCL)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리지 못했다는 것. 2019-20시즌에 결승까지 올랐으나 바이에른의 벽을 넘지 못하고 준우승에 머물렀다. 최근 두 시즌 동안은 메시-네이마르-음바페라는 역대급 조합을 구축하고도 내리 UCL 16강에 머물며 자국리그 내에서만 강한 '리그앙 여포'라는 조롱을 듣기도 했다.
 
이강인은 만 6세였던 2007년 축구 예능 KBS2 <날아라 슛돌이>를 통해 처음 이름을 알렸고, 다시 어린 나이에도 남다른 재능으로 '축구 신동'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정식으로 축구에 입문한 2011년부터 발렌시아 유소년팀에 합류했고, 7년 뒤인 2018년 17세 나이로 프로에 데뷔했다. 2021년에는 마요르카로 이적하며 줄곧 스페인에서 뛰어왔다. 라 리가에서의 통산 성적은 5시즌 동안 컵대회 포함 17골 19도움이다.
 
특히 마요르카에서의 2022-23시즌은 이강인이 성인무대에서 한 단계 스텝업한 시즌으로 꼽힌다. 이강인은 마요르카의 에이스로 활약하며 각종대회에서 총 39경기에서 나서서 6골 6도움으로 프로 두 자릿수 공격포인트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경기당 키 패스 1.5회, 드리블 성공 2.5회로 내용 면에서 우수한 지표를 보여주며 라 리가 상위권의 공격 자원으로 활약했다.
 
국가대표팀에도 꾸준히 소집되어 2019 폴란드 U-20월드컵에서는 한국대표팀을 역대 최고 성적인 준우승으로 이끌며 FIFA 주관 대회 한국인 선수 첫 골든볼(최우수선수)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성인대표팀에서도 A매치 통산 14경기에 출전했고, 2022 카타르월드컵에서는 2도움을 올리며 한국의 16강을 견인하는 등, 손흥민을 잇는 한국대표팀의 차세대 에이스로 꼽히고 있다.
 
이강인의 PSG행은 선수 개인에게나 한국축구로서나 모두 기념비적인 의미를 지닌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선수가 유럽 최정상 수준의 빅클럽에서 뛴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드문 사례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