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의 경제읽기] 미 5월 CPI 4.0% 상승…연준, 금리동결 유력?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김대호의 경제읽기] 미 5월 CPI 4.0% 상승…연준, 금리동결 유력?

실시간뉴스s 0 1361 0 0
[김대호의 경제읽기] 미 5월 CPI 4.0% 상승…연준, 금리동결 유력?<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안녕하세요?<질문 1> 미국의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0% 올랐습니다. 저번달과 비교해도 0.1% 오르는 데 그치는 등 11개월 연속 둔화세를 이어가는 모습인데 하향 안정세에 접어들었다고 봐도 될까요?<질문 2> 파월 의장은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같은 경제지표를 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강조했었는데요. CPI가 시장의 예상과 부합한 만큼 기준금리 동결에 무게를 둬도 괜찮을까요?<질문 3> 연준이 6월엔 기준금리를 동결하더라도 7월에 다시 올릴 수도 있다는 시선도 있는데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다음 달에는 한은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는데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한다 보십니까?<질문 4> 지난 5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5만 1천 명이 늘었습니다. 실업률은 2.7%로 1999년 이후 5월 기준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 어떻게 진단하십니까? 올해 취업자 수가 줄어들 거란 예상과 달리 고용시장에 온기가 도는 걸까요?<질문 5> 다만 제조업과 건설업 취업자는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29세 이하 청년층 취업자 수도 감소하고 있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향후 고용전망에 대해 하방 요인이 많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가장 우려되는 변수를 꼽는다면 어떻습니까?<질문 6> 최근 북미와 유럽 등을 중심으로 경영 실적이 호전된 현대차그룹이 8조 원에 가까운 자금을 국내 투자 재원으로 활용하기로 했습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기업들이 해외에서 이익을 많이 내도 국내로 현금을 들여오는 걸 주저했는데 분위기가 달라진 배경은 무엇인가요?<질문 6-1> 불황으로 국내 소비와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높았는데요. 이번처럼 기업들이 국내 투자를 늘린다면 고용 등의 부문에서 활력을 불어넣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요?<질문 7> 이런 가운데 현대차가 IRA 여파에도 미국 시장에서 압도적인 전기차 판매량을 자랑했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현대차와 기아 모두 판매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하반기 전기차 시장은 어떻게 전망하세요?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끝)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