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 살, 나는 어른이 되었는가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마흔 살, 나는 어른이 되었는가

KOR뉴스 0 80 0 0

나이와 나이듦은 시인들에게 자연스러운 작품 소재다. 내가 감지하는 타자와 세계의 흐름만큼이나, 그것을 마주하고 수렴할 자기 내면의 변화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마흔’은 시인들의 글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견되는 나이. 이문재 시인은 “나는 마흔 살/ 옛날은 가는 게 아니고/ 이렇게 자꾸 오는 것이었다”(’소금창고’)고 했고, 김선우 시인은 “여기까지 시속 100킬로미터로 달려왔지만/ 여기서부터 나는 시속 1센티미터로 사라질 테다”(‘마흔’)라고 했다. 우리 인식 안에서 마흔은 곧잘 살아온 시간과 살아갈 시간이 교차하는 반환점이 된다.

시인이기도 했던 공자는 마흔을 어떤 것에도 미혹되지 않는 불혹(不惑)이라 했지만, 어디까지나 ‘공자님 말씀’처럼 느껴질 때가 많다. 박영희 시인은 “서른에서 마흔으로 이어지던/ 계단은 그 어디에도 보이지 않”(’마흔’)았다고, 유병록 시인은 “열일곱 살부터/ 훌륭한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었는데”도 “훌륭한 사람은 어떤 사람인지/ 아직 알지 못하는데”(‘마흔이 내린다’)라고 적었다. 신경림 시인은 마흔의 갑절을 살아내고 팔순을 맞이하던 해 발표한 시집에서 “어쩌면 다시는 헤어나지 못한다는, 헤어나도 언젠가 다시 닥칠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떨던, 나의 마흔이 싫다”(‘나의 마흔, 봄’)고 처절하게 고백했다. 이렇듯 마흔이라는 낱말이 눈에 크게 들어오는 까닭은 올해 내가 만으로 마흔 살이 됐기 때문이다. 아울러 어려서부터 마흔을 생각하며 품었던 슬픈 바람 때문이다.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