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에 둥지 튼 쇠백로떼…진객 아닌 불청객 전락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도심에 둥지 튼 쇠백로떼…진객 아닌 불청객 전락

실시간뉴스s 0 1354 0 0
도심에 둥지 튼 쇠백로떼…진객 아닌 불청객 전락[앵커]해마다 이맘때면 광주 도심을 찾는 여름 철새가 있습니다.멸종위기등급상 '관심 대상'으로까지 분류돼 있는데요, 어찌 된 영문인지 주민들에게는 골칫거리 취급을 당하고 있습니다. 김경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가로수 위에 하얀 깃의 새 50여마리가 무리 지어 앉아 있습니다.머리 뒤로 긴 깃 장식이 특징인 여름 철새 '쇠백로'입니다.쇠백로가 매년 여름 광주 도심 한복판에 둥지를 틀기 시작한 건 10여년 전부터입니다.보금자리를 만들 때마다 주민 민원으로 쫓겨나면서 계속 서식지를 옮겨 다니고 있습니다.쇠백로가 주민들에게는 불청객일 뿐입니다.일대를 뒤덮은 새들의 배설물과 죽은 물고기의 악취 때문입니다."새들이 둥지를 튼 가로수 아래 인도 바닥에는 페인트를 칠한 것처럼 배설물이 가득 쌓여 있는데요, 악취까지 진동하고 있습니다."실제 인근을 지나는 주민들이 '새똥 테러'를 당하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인근 주민> "여기 보세요. 가다가도 똥을 옷에 맞을 수도 있고. 한여름에는 깔아놓으면 냄새가 말도 못 해요."<이덕숙 / 인근 주민> "불편하긴 불편하지. 새들이 (물)고기 같은 것도 물어다가 놔둬서… 냄새가 나요."광주 서구청은 임시방편으로 가림막을 설치하고, 둥지를 제거하고 있습니다.무작정 내쫓을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김용주 / 인근 주민> "새는 자연하고 관계(있고)… 불편해도 할 수 없죠. 나무를 잘라서 못 오게 할 수는 없잖아요."환경단체는 주민과 새들의 공존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김종필 / 광주환경운동연합 생태도시국장> "녹지 공간을 확보하고 거기에 큰 나무 같은 것들을 이식해서 심거나 큰 나무가 있는 공간을 나름대로 서식지로 좀 조성해서 유지하는 방법 말고는…"새로운 서식지가 마련되지 않는 한 불편한 동거는 해마다 반복될 것으로 보입니다.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kikim@yna.co.kr)#쇠백로 #광주_화정동 #민원 #서식지 #여름철새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끝)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