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 암살 안두희를 '응징'한 곽태영... 그를 위한 비석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김구 암살 안두희를 '응징'한 곽태영... 그를 위한 비석

해외뉴스 0 1320 0 0
여러 사람의 삶이 뒤엉키고, 과거 일들과 현재 일들이 등나무 줄기처럼 얽히고설키며 통시적(通時的)인 날줄과 공시적(共時的)인 씨줄로 짜인 것을 역사라 부를 수 있을까? 누구에게나 시간은 공평한 것이라 조국과 겨레 앞에 모든 것을 바쳤던 독립지사들을 이젠 직접 만날 수 없고, 그들 곁에서 함께했던 이들도 세상을 떠난 경우가 대부분이다.

독립지사는 아닐지라도 그들의 삶을 기억하고 계승하고자 했던 이들 역시 늙음을 피할 길이 없다. 이제 귀는 어둡고 기억은 흐릿하다. 자기만의 방식으로 역사를 살아내고자 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더 늦기 전에 기록으로 남겨야겠다는 생각에 이 글을 시작한다. - 기자 말
 
1965년 곽태영은 백범 암살범 안두희를 응징하고자 수소문 끝에 강원도 양구에 숨어들었다. 안두희는 당시 최고 권력자와 동향 친구이자 이 지역 사단장이던 이기근의 비호 아래 군납업에 손을 대서 돈을 벌었고, 마을 사람들이 '안두희 별장'이라고 부르는 저택에 살고 있었다.

방물장수로 위장한 곽태영은 수건, 양말, 장갑 등속을 팔며 기회를 엿보다가 12월 22일 마당에서 세수하던 안두희에게 달려들었다. 그는 안두희에게 오히려 반격당해 위기를 맞았지만, 엎치락뒤치락 격투 끝에 결국 안두희를 '응징'했다. 곽태영이 10년을 벼르고 벼른 일이었다.

신고를 받고 달려온 경찰들에 의해 곽태영은 곧바로 연행되었고, 안두희는 서울성모병원으로 옮겨져 두 차례의 수술 끝에 겨우 목숨을 건졌다. 곽태영은 상해죄로 1966년 7월 30일 서울고등법원에서 징역 3년에 집행유예 5년 선고를 받은 뒤 풀려났다.

가까스로 살아난 안두희는 양구를 떠나, 이후 '안영준'이란 가명을 쓰며 은거했다. 1974년 안두희는 가족과 함께 이민 가려다가 그 소식이 세상에 알려져 가족만 미국으로 보냈다. 1981년에도 안두희는 이민을 시도했으나 반대 여론으로 무산됐다. 안두희는 백범 암살에 대해 몇 번의 증언을 했으나, 증언할 때마다 말이 바뀌었다. 결국 죽을 때까지 '사실상 침묵'으로 일관하면서 암살 배후 등에 대한 진실을 밝히지 않았다.
IE003167849_STD.jpg?20230622131545
  
양구 냉천골공원(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하리 18-5) 앞에는 곽태영의 의거를 기념하는 비석이 셋 있다. 1982년 3월 3일(백범 서거 33주기가 되던 해)에 세운 비석(이 글에서는 '안두희 응징비'라고 부르겠다)이 하나이고, 민족정기소생협회가 1985년 4월 17일에 세운 비석이 그 둘이고, 1995년 4월 17일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가 백범 선생의 친필 어록(평생염원 오국독립, 平生念願 吾國獨立)을 새겨서 이 자리에 세운 비석이 그 셋이다.
 
'안두희 응징비'는 당시 홍천에서 약방을 운영하던 남궁경 선생이 세운 것인데, 앞면에는 한 줄에 11자씩 3줄 모두 33자를 세로로 내려써서 새겼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부 광복의 거성 김구 선생 (國父光復의巨星金九先生)
만고의 원흉 괘심한 아드흐 (萬古의元兇괘심한아드흐)
억만인 흠모할 곽태영 의사 (億萬人欽慕할郭泰榮義士)
 
좌우 옆면에는 각각 이렇게 새겨져 있다.
 
저(狙) 33 33 3.3 21 (왼쪽) ㅁ ㅇ ㅇ ㅂ (오른쪽)
 
정면 둘째 줄 '아드흐'라는 부분에서 누군가 '안두희'라고 새긴 것을 또다시 메워놓은 흔적이 보인다. 좌우 옆면의 한자 '저(狙)'와 숫자의 조합은 무얼 의미할까. 한글 자음들은 또 무슨 뜻일까? '안두희'를 부러 '아드흐'라고 새긴 까닭은 무엇일까?
 
"내 아버지를 죽인 것 같은 마음"
IE003167850_STD.jpg?20230622131545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