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컬링 '6구단 체제' 나서는데, '다음 대회'는 언제쯤?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여자 컬링 '6구단 체제' 나서는데, '다음 대회'는 언제쯤?

대박기자 0 1298 0 0
IE003121410_STD.JPG
 
한국 여자 컬링이 '역대급' 외연 확장의 폭풍 속에 서 있다. 지난 2022년 서울시청 여자 컬링팀이 창단된 데 이어, 올해 3월에는 의성군청 남녀 컬링팀의 창단이 이루어지면서 실업 여자 컬링팀이 6개 구단으로 늘어났다.

여자농구 WKBL이 6개 구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V-리그 여자부 역시 2020년까지 6개 구단 체제로 운영된 것을 고려하면 다른 프로 스포츠 못지 않은 외연 확장이 이루어졌다. 대중에 국내 컬링대회를 처음 알렸던 코리아컬링리그의 여자부 참가팀이 4개에 불과했던 것을 생각하면, 짧은 시간 안에 괄목한 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하지만 팀이 늘었지만 나갈 대회가 없다. 대한민국 내에서 매년 상시적으로 열리는 컬링 대회는 단 세 개 뿐이다. 국가대표 선발전을 겸하는 한국컬링선수권대회, 전국동계체육대회, 회장배까지 단 세 개 대회만이 열리고 있다. 선수 인프라는 출중한데, 그 선수들이 마음껏 뛰어놀 국내대회 인프라가 아쉽다.

종목도 선수도 매력 있으니... 팀이 늘 수밖에

국내에서 '컬링을 직업으로 삼는 여자 선수'가 나타난 것은 2003년이었다. 당시 전라북도에서 실업 여자 팀을 창단하면서 다섯 명의 선수가 입단했다. 그 이후 실업구단 인프라는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경기도, 춘천시 등 지자체에서 팀을 창단하면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에는 4개의 실업팀이 운영되었다.

최근 1년 사이에는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졌다. 2022년에는 남자 컬링 구단을 이미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청에서 2020 로잔 청소년 동계올림픽 국가대표 출신의 선수 등을 영입해 젊은 선수들로 꾸려진 여자 구단을 창단했다. 오는 3월에는 의성군에서 지역 출신의 선수들로 구성된 의성군청 남녀 실업팀을 창단할 계획이다.

이렇듯 '컬링 구단 창단'의 열풍이 분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먼저 특히 12년간 이어진 동계올림픽에 선수들이 연속으로 출전해 좋은 기록을 써내면서 컬링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국가대표 선수들이 올림픽을 넘어 세계선수권·아태선수권 등에서도 꾸준히 좋은 성적을 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IE003121409_STD.JPG
 
특히 가장 중요한 요인에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펼친 선수들의 활약을 통해 국내 컬링 인프라가 크게 늘었다는 점도 들 수 있다. 평창 올림픽 이전 의성에만 있었던 국제 규모의 컬링 전용경기장은 의정부, 강릉에 생겨나는 등 번졌고, 전주 등에도 국제 규모 경기장이 건설되고 있다.

비용 상의 이점도 있다. 컬링은 다른 구기종목보다 현저히 적은 4명의 선수단만 구성되면 어엿한 구단을 창단할 수 있다. 그런데다, 의정부·의성 등 '컬링 명문' 도시를 포함해 청주, 전주 여러 지역에서 국내외 대회에 출전해 좋은 성적을 기록했던 선수들이 화수분처럼 꾸준히 수급된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