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로시마 공동참배 다행... 그런데 기시다가 딴 생각이라면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히로시마 공동참배 다행... 그런데 기시다가 딴 생각이라면

해외뉴스 0 1201 0 0
IE003147602_STD.jpg?20230509103512
 
윤석열 정권의 최대 과오는 강제징용(강제동원) 문제를 반역사적·반민족적으로 처리한 일이다. 독도 영유권 쪽에서 새로운 기록을 수립할 가능성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강제징용 처리가 최대 과오다.
 
그런데 윤 정권은 이를 도리어 치적으로 포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달 19일 히로시마에서 개막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를 참배하게 된다. 대통령실은 이를 강제징용에 대한 일본의 성의 표시 또는 한국 정부의 외교적 성과 비슷하게 해석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실 관계자는 8일 브리핑에서 "히로시마에서 희생된 분들 가운데 실제로 강제징용으로 끌려간 분이 많이 있다"며 "일본 정부가 알고 제안했는지 모르지만, 한·일 정상이 공동으로 한인 피해자를 참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라고 평했다. 그런 뒤 "한·일 정상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 대해 고개를 숙이고 위로하고 함께 미래를 준비하게 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강제징용과 억지로 꿰맞춰

한국원폭피해자협회 홈페이지는 일본 내무성 자료를 근거로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피해자 74만 명 중에서 한국인이 10만 명'이라고 말한다. 정용하 부산대 교수의 논문 '일본의 한국인 피폭자 차별과 책임'(2019년 8월 <한국민족문화>)에 인용된 한국원폭피해자원호협회의 1972년 보고서에 의하면, 전체 피폭자 약 69만 명 중에 한국인 피폭자는 7만 명이다. 어느 경우든 한국인 피해 규모는 상당하다.
 
히로시마·나가사키에는 징용으로 끌려간 한국인들이 특히 많았다. 이곳에 미쓰비시중공업 같은 전범 기업들의 군수 시설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통령실의 설명대로 원폭 피해자 상당수는 강제징용 피해자였다.
 
하지만, 일본인이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을 건립한 목적은 강제징용 피해와 무관했다. 히로시마시 홈페이지(www.city.hiroshima.lg.jp)에 실린 '평화기념공원에 관하여(平和記念公園について)'라는 글에서도 확인되듯이, 이 공원은 1949년 8월 6일 공포된 '히로시마평화기념도시 건설법'을 근거로 건립됐다. 일본이 이 법을 제정한 것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함은 물론이고 항구적 평화의 기원(제1조)과 히로시마 도시의 부흥(제2조) 등을 위해서였다.
  
IE003147966_STD.jpg?20230509103540
 
그렇기 때문에 윤 대통령이 기시다 총리와 함께 평화기념공원 한국인 위령비를 참배하는 것은 한국인 희생자에 대한 추모와 항구적 평화에 대한 기원 등의 의미를 띠게 된다. 기시다 총리가 위령비 앞에서 강제징용 문제를 언급한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다면 이 참배가 곧바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추모의 의미가 되지는 않는다. 일본이 평화기념공원을 조성한 것과 한국인 위령비 설치를 허용한 것은 강제징용 자체와는 무관하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