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된 ‘애플 생태계’… 성장 공식이 부메랑으로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표적된 ‘애플 생태계’… 성장 공식이 부메랑으로

세계뉴스 0 135 0 0

“애플은 미국 정부가 마이크로소프트(MS)를 반독점법으로 압박하며 생긴 기회를 발판으로 성장한 회사다. 그럼에도 과거의 MS와 비슷한 폐쇄적 생태계를 만들어 독점적 지위를 남용하고 있다.” 미 법무부는 지난 21일 애플을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하며 공개한 88쪽짜리 소장(訴狀)을 통해 애플이 2007년 스마트폰(아이폰) 출시 이후 단계적으로 구축한 애플의 ‘닫힌 생태계’를 정조준했다. 아이폰과 앱(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해 음악·금융 등 부가 서비스, 연동 액세서리인 스마트워치(애플워치)까지 모두 치밀하게 연계돼 다른 기업의 진입을 막는 사업 행태가 독점적 지위를 남용한 불법 행위라고 지목한 것이다. 아이폰의 미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약 70%다.

애플은 자사 상품·서비스끼리만 잘 연동되는 폐쇄적 생태계를 사업 전략으로 삼아 크게 성장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타사 서비스와 호환되지 않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익을 해치고 잠재적 혁신 기업의 시장 진입을 차단했다는 것이 법무부 주장이다. 조너선 캔터 법무부 반독점국장은 이날 소장을 공개하며 “애플이 시장 지배력을 남용해 ‘두더지 잡기’ 하듯 경쟁사들을 억압해 왔다”며 “이런 행태는 소비자의 경험도 저하시켰다”고 했다. AP 등은 법무부 관계자를 인용해 “법에 따라 법무부가 애플의 해체 등 구조적 변화를 요구할 권리가 있다”고 전했다.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