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에 조언하러 모인 '현자'들의 실체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윤석열 정부에 조언하러 모인 '현자'들의 실체

해외뉴스 0 1955 0 0
IE003087407_STD.jpg
 
윤석열 정부가 한일관계를 위한 '현인회의'를 출범시켰다. 외교부의 6일 자 보도자료는 현인회의의 발족 취지를 "한일 간 현안의 합리적인 해결방안 모색 및 관계 개선"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피해자 측을 비롯한 각계각층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외교당국 간 긴밀한 대화와 협의를 지속해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일관계 중에서도 강제징용(강제동원) 피해 해결이 주안점이라는 점을 밝힌 것이다.
 
지난 9월 5일 제4차 회의로 종결된 강제징용 민관협의회의 후속 기구로 공청회나 공개토론회를 추진한다는 이야기가 외교부에서 있었다. 그랬다가 이번에 표현이 다소 생경한 현인회의라는 협의체가 출범하게 됐다.
 
이달 6일 서울 시내 호텔에서 박진 외교부장관 주재로 첫 모임을 가진 현인회의에는 네 명이 참석했다. 홍석현 중앙홀딩스 회장, 문희상 전 국회의장, 최상용 전 주일대사 겸 고려대 명예교수, 유흥수 한일친선협회 중앙회장이다.
 
사실, 현인회의라는 표현은 한국인 어감에 친숙하지 않다. 한국인들에게는 고문단·자문회의나 원로회의 같은 용어가 익숙하다. 또 현인보다는 현자가 더 가깝게 느껴진다.
 
한자문화권에서 이 용어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된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외무대신 시절인 2017년 5월 2일에 설치를 예고한 것도 '핵군축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현인회의(核軍縮の実質的な進展のための賢人会議)'였다.
 
현인회의와 함께 많이 쓰이는 유식자회의(有識者会議)는 주로 일본 국내문제와 관련해 사용된다. 내각부의 '자녀 빈곤대책에 관한 유식자회의', 법무성의 '갱생보호의 실태를 고찰하는 유식자회의' 등등이 그러하다.
 
이와 달리 현인회의는 위의 핵군축 현인회의처럼 국제 문제와 관련해 많이 사용된다. 1986년 12월 10일 자 <매일경제> 기사 '한·일 현인회의에의 기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도 일명 현인회의로 불리는 한일 21세기위원회를 설치하기로 전두환 정권과 합의한 바 있다.
 
선비들이 많았던 한국에서도 현자나 현인을 자처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평생을 학문 연구에 매진하면서도 어리석거나 무지몽매한 인간으로 자처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자신이 쓴 글도 '졸고' 혹은 '졸저'로 낮춰 부르는 예가 많다. 자신이 명사 정도로 불리는 것은 받아들여도 현자나 현인으로까지 불리는 것은 부담스러워하는 것이 한국 문화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시킨 현인회의는 한국인의 정서에 잘 부합하지 않는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