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 홍씨가 '한중록'에 남긴 진짜 메시지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혜경궁 홍씨가 '한중록'에 남긴 진짜 메시지

sk연예기자 0 740 0 0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1735-1816)는 조선 역사에서 가장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여인으로 꼽힌다. '세자의 아내'이자 '왕의 어머니'라는 누구나 부러워할 축복받은 자리에 있었음에도, 정작 그로 인하여 생전에 남편과 아들을 먼저 떠나보내고 친정이 정쟁에 휘말려 몰락하는 모습까지 지켜봐야하는 비극을 겪어야했다. 파란만장했던 홍씨의 삶만큼이나 후대에도 그녀를 바라보는 평가와 해석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5일 방송된 tvN story 역사 스토리텔링 <벌거벗은 한국사>에서는 '혜경궁 홍씨는 왜 남편 사도세자를 버렸나' 편을 통해 혜경궁 홍씨의 인생과 행보를 둘러싼 역사적 논쟁들을 조명했다.
 
홍씨가 집필한 한중록(閑中錄, 혹은 한중만록)은 그녀가 말년에 자신의 일생을 회고하면서 쓴 수필로, 오늘날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궁중 문학이자 드물게 왕실의 여성이 직접 저술한 책이다.
 
한중록의 제목을 있는 그대로 해석하면 '한가로운 시간에 쓰고 싶은대로 쓴 글' 정도의 의미를 지닌다. 그런데 평생 왕실에서 온갖 풍파를 겪어야했던 홍씨의 일생이나 실제 그안에 담긴 파란만장한 내용들을 고려하면 전혀 어울리지않는 역설적인 대목이다. 그래서 한중록은 후대에는 원통할 한(恨)자를 대신 넣은 한중록(恨中錄), 혹은 피를 토하고 눈물을 흘리며 쓴 글이라는 의미의 읍혈록(泣血錄)으로 불리기도 했다. 실제로 이것이 기록 속에 담긴 홍씨의 심경과도 더 가깝다.
 
홍씨는 남편 사도세자와 아들 정조, 시아버지 영조 등 당대의 중요한 인물들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목격자이자, 그래서 수많은 비극을 겪어야했던 인물이다. 그녀가 남긴 한중록은 조선 영-정조 시대 왕실의 주요한 역사를 이해하는 사료로서도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홍씨가 한중록을 집필한 데는 단지 자신의 한많은 인생을 넋두리하듯 회고하는 것을 넘어서, '남편 사도세자의 죽음에 대한 숨겨진 진실'을 밝히려는데 진짜 의도가 숨어있었다는 것이 오늘날 학계의 해석이다.
 
홍씨는 1735년 풍산 홍씨 가문에서 홍봉한의 딸로 태어났다. 1743년(영조 19년), 9살의 어린 나이에 왕실의 배우자를 고르는 삼간택에 참여하여 세자빈으로 낙점됐다.

엄격하고 깐깐하기로 유명했던 시아버지 영조는 삼간택을 참관하여 홍씨를 보고 첫눈에 마음에 들어했다고 전해진다. 이듬해인 1744년, 홍씨는 동갑내기인 남편 사도세자 이선과 결혼하여 부부의 연을 맺었다. 한중록에 따르면 남편 사도세자의 첫 인상은 '세자께서는 체구가 크고 늠름하셨으며 효심이 깊고 우애가 있는데다 총명하기까지 하셨다.'고 기록하며 호감을 드러냈다.
 
홍씨가 세자빈이 되면서 아버지 홍봉한도 관직을 부여받아 사도세자를 교육하는 일을 맡았다. 사도세자에게는 장인이자 스승님이 된 것. 미래의 국왕이 될 늠름한 남편에, 승승장구하는 친정까지 그야말로 홍씨로서는 '로열패밀리'로서의 축복받은 삶만 기다리고 있는 듯 보였다.
 
하지만 10살짜리 세자빈에게 궁궐에서의 시집살이는 만만치않았다. 홍씨는 왕실 법도상 매일같이 아침부터 영조를 비롯한 왕실의 어른들에게 돌아가면서 문안인사를 하느라 혼이 쏙 빠질 지경이었다고 한다. 정작 함께 동행해야할 남편 사도세자는 번거로운 예법을 따르는 걸 귀찮아하고 문안인사를 가기 싫어해서 홍씨가 남편을 어르고 달래 억지로 끌고가느라 진땀을 빼야했던 경우도 다반사였다고 한다.
 
홍씨는 한중록에서 "궁궐 법도가 그리 엄했던가 싶더라.그래도 괴로워한적이 없었으니, 내 됨됨이가 옛날 사람이라 이를 능히 감당하였던가 싶더라"고 회상하며 어린 나이에도 궁궐에서의 시집살이에 성숙하게 대처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사도세자가 성장해가면서 아버지 영조와의 갈등이 차츰 깊어졌다. 홍씨는 남편 사도세자에 대하여 "활쏘고 칼쓰고 그림 그리기로 날을 보내고, 잡서를 좋아하여 이를 가지고 공부하며 외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현대로 치면 예체능을 좋아했던 셈이다.
 
하지만 국왕으로서 학문적 소양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영조는, 아들 사도세자가 공부는 뒷전이고 놀기만 좋아하다고 생각하여 못마땅해했고, 신하들 앞에서 호통을 치며 망신을 주기도 했다. 홍씨도 사도세자의 옆에서 시아버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고, 어린 나이에도 무언가 잘못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직감했을 것이다.
 
결혼한지 5년만인 1749년, 영조는 돌연 사도세자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 군주가 후계자에게 국정을 위임하는 것)을 명한다. 성인이 된 세자에게 국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서 세자로서 책임감도 갖게 하고, 그 능력을 검증해보기 위한 영조의 의도였다. 홍씨가 18세가 되던 1752년에는 왕위를 이을 아들을 출산하니 그가 바로 미래의 조선 22대 국왕이 되는 정조(이산)다.
 
하지만 홍씨의 행복은 길지않았다. 대리청정을 시작한 이후 영조와 사도세자의 관계는 오히려 더욱 악화됐다. 영조는 표면적으로는 대리청정을 지시했지만 정작 사도세자에게 실권을 내줄 생각이 전혀 없었고 사사건건 간섭하며 압박했다. 사도세자가 독단적으로 어떤 결정을 내리면 이에 제동을 걸며 뒤집었고, 문의를 하면 그 정도도 알아서하지못한다고 질타했다. 사도세자가 어쩌다가 작은 실수라도 하면 신하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망신을 주며 꾸짖었다.
 
사실상 학대에 가까운 영조의 압박에 견디다못한 사도세자는 점점 정신적으로 무너지기 시작했다. 이 무렵부터 사도세자는 옷입기를 어려워하는 의대증에 시달렸고, 우물에 뛰어들려고 하는가 하면, 내시나 궁녀들을 수없이 살해하는 등 이상 행동을 거듭했다. 이러한 사도세자의 증상은 현대적으로 보면 '조현병'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해석된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