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넘은 'SNL 코리아'에 당부하고 싶은 말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선 넘은 'SNL 코리아'에 당부하고 싶은 말

sk연예기자 0 710 0 0
암흑기를 끝낸 '코미디'가 다시 전성시대를 맞이할 수 있을까. 지상파가 공개 코미디의 손을 놓아버린 후, 웃음을 업(業)으로 하는 이들은 설 곳을 잃었다. 외면받은 그들은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헤매야 했다. 불러주는 곳이 없었기에 생계를 위해 업을 포기하는 안타까운 경우도 허다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그들은 '유튜브'로 갔다. 그곳은 최후의 보루였다. 

척박하다고 여겼던 그곳은 오히려 무한한 기회의 장이었다. 각종 규제로부터 자유로운 환경은 '개그'를 하기에 최적의 조건이었다. 창작자를 옭아매는 검열도 없었고, 폐쇄적인 라인도 존재하지 않았다. 그 결과, '숏박스(구독자 수 240만 명)', '피식대학(185만 명)', '꼰대희(84만 명) 등 다양한 채널들이 각광받고 있다. 폭발적인 반응의 '다나카' 열풍도 빼놓을 수 없다. 
IE003107030_STD.jpg
 
OTT도 코미디의 부활에 한 축을 담당했다. 쿠팡플레이 'SNL 코리아'는 시그니처라 할 성인 개그를 통해 시선을 끈 후 정치 풍자 개그 등으로 보폭으로 넓혀나갔다. (뒤에서 다시 얘기하겠지만) 최근에는 신입 사원과 기성 회사원들의 세대 갈등을 그린 'MZ 오피스'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SNL 코리아 시즌3'에는 송승헌, 박해수, 김옥빈, 고수 등 유명 배우들도 앞다퉈 출연할 정도이다.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 안다. 또, 그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도 안다. 그래서 웃음을 선물하는 일을 업으로 하는 이들, '코미디언'에게 깊은 고마움을 갖고 있다. 그들은 누구인가. 웃음을 위해 우스꽝스러운 분장도 마다하지 않고, 기꺼이 넘어지고 기쁘게 망가지는 이들이다. 사람들의 무례에도 '우리가 웃기는 사람이지 우스운 사람은 아니'라며 자존감을 지키는 이들이다. 

그뿐인가. 유명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저는 '코빅' 사랑해달라, '채널 십오야' 사랑해달라 하지 않겠습니다. 코미디를 사랑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신규진, 개그맨)"고 말하는 이들이다. 신규진의 저 말이야말로 대한민국 코미디언들이 공유하고 있는 정서일 것이다. 그들을 어찌 애정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럼에도, 아니 그렇기에 '아쉬움'에 대해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