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일 문양 보드' 11살 참교육? 그 개운치 않은 뒷맛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욱일 문양 보드' 11살 참교육? 그 개운치 않은 뒷맛

해외뉴스 0 1540 0 0
IE003170378_STD.jpg?20230627150548
 
욱일기에 대한 국민적 반발이 뜨겁다. 욱일기를 게양한 해상자위대 함선의 입항 문제를 둘러싸고 정치적 갈등이 고조된 데에 이어, 이번엔 그 불길이 민간 서핑장에까지 옮겨붙은 모양새다.

최근 여러 언론보도에 따르면, 경기도 시흥의 한 인공서핑장에서는 11세 일본인 관광객이 욱일 문양의 서프보드를 타다가 다른 서퍼들의 항의를 받은 일이 있었다고 한다. 그 어린이는 '욱일 문양의 역사적 의미를 몰랐다'고 해명하며 욱일 문양 위에 매직을 덧칠하기까지 했지만, 서핑장 측은 '이용을 허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한 언론은 이 소식을 전하며 기사 제목에 일본 아이가 '참교육' 당했다는 표현까지 썼다. 그런데, 정말 이 사안은 '통쾌하게' 바라봐야 할 일이 맞을까? 
 
욱일 문양에 대한 한국 대중의 반감은 식민통치기의 기억 계승과 맞물려 매우 뿌리깊어 보인다. 하지만 욱일 문양의 서프보드를 이용한 어린이의 존재를 가리켜 '일본 내 역사교육 부재'의 증거라며 손가락질 하는 전개는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긴다. 일본 도처에서 만날 수 있는 욱일 문양을 마주하며, 단순히 일본 시민 사회가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는다고 재단하고 분노하는 것은 타당한가.

욱일 문양은 곧 침략전쟁 옹호일까 
    
IE003170298_STD.jpg
 
욱일 문양에 대해 반감을 드러내는 이들은 욱일 문양을 채용한 깃발, 즉 욱일기가 옛 일본육해군의 군기로 사용됐던 역사를 직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욱일 문양은 침략군이었던 옛 일본군의 상징이므로, 욱일 문양을 사용하는 것은 일본군을 예찬하고 침략의 역사를 옹호하는 행위라는 인식이다.

또 유럽에서 침략전쟁을 수행했던 나치와 일제를 비교하며 일본의 욱일 문양이 나치의 하켄크로이츠 문양과 다를 것 없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하켄크로이츠는 나치당 및 나치당이 집권했던 나치시대 독일의 상징으로, 오늘날의 서구사회에서는 금기시되고 있는 문양이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욱일기를 하켄크로이츠와 동일선상에 놓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한다. 욱일기는 군기인 반면, 하켄크로이츠는 나치정권 그 자체의 상징으로 기능했기 때문이다. 일본군이 사용했던 욱일 문양와 직접 비교가 가능한 것은, 나치 집권 이전부터 독일군의 상징으로 사용된 철십자 문양이다. 철십자 문양은 프로이센 공국의 전신인 튜튼 기사단 시절로까지 기원이 거슬러 올라가는데, 나치 독일과의 연속성을 강하게 부정하고 있는 현 독일연방군도 사용하고 있다.
  
IE003170297_STD.jpg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