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에 또 봅시다" 뒤에 "할 수 있다면"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다음에 또 봅시다" 뒤에 "할 수 있다면"

해외뉴스 0 358 0 0
IE003184607_STD.jpg?20230801160900
 
"정말 추웠어요. 너무너무 추웠다는 기억이 제일 크게 남아있죠."

아주 오래 전 아직 '정정한' 그들, 한국전 참전 호주용사들을 만나 인터뷰를 했을 때 가장 많이 들었던 추억 이야기였다. 서너 달 지나면 집으로 돌아오겠다면서 떠났던 열여덟, 열아홉 '소년'들은 길어진 한국전쟁에서 길게는 3년을 넘기고서야 집으로 돌아왔다. 함께 떠났던 친구를 잃어버리고 슬픔 가득 안은 채 홀로 귀국길에 오른 병사도 있었다. 그리고 흐른 세월이 어느새 70년.

정전 70주년을 맞은 올해 전세계 22개국에서 각종 기념 행사가 열리고 있다. 이곳 호주 빅토리아 주 멜번에서는 지난 7월 27일 오전 11시, 멜번 시내 소재 전쟁기념관(Shrine of Remembrance)에서 헌화식을 가진 후 인근 풀맨 알버트파크(Pullman Albert Park) 펑션 홀로 자리를 옮겨 참전용사들을 위한 감사 오찬 행사를 열었다.
멜번분관(분관장 이창훈 총영사) 주최로 열린 이날 행사에는 24명 빅토리아 주에 거주하는 생존 참전용사들 중 17명과 참전용사 유족 및 가족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1부 헌화식은 KVAA(Korea Veterans Association of Australia : 한국전 참전 호주용사 협회) 프레드리만(Fred Lehmann) 부회장이 진행을 맡았으며, 존 브라운빌(John Brownbill) 목사의 기도로 시작됐다.

기념시 낭독, 기념사에 이어 이창훈 총영사는 답사를 통해 "오늘 우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동양의 작은 나라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 수호를 위해 참전했던 1만7146명의 용감한 호주군인들의 희생을 기리고 정전 7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면서 이들의 희생이 오늘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존재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이 총영사는 어떤 말로도 이 감사를 다 표현할 수 없다면서 우리는 여러분의 희생을 결코 잊지 않고 기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나탈리 술레이먼 호주재향군인 장관, 로벗 웹스터 RSL (Returned and Services League of Australia) 빅토리아 주 회장등을 비롯 많은 호주 정치인들과 군 관계자들이 차례차례 헌화했다. 박응식 빅토리아 주 한인회장, 최종곤 한국전쟁 참전비 관리위원장 OAM, 김경운 민주평통 멜번지회장, 리차드 조 한화디펜스 호주지점장 등도 준비한 화환으로 희생 용사들을 기렸다.

묵념, 양국 국가 제창등으로 기념식을 마친 참석자들은 인근 풀맨 알버트팍 펑션 홀로 자리를 옮겨 멜번분관 주최 참전용사들을 위한 감사와 위로 오찬 행사를 이어갔다.
IE003184624_STD.jpg?20230801160900
 
이창훈 총영사는 환영사에서 참석 귀빈들을 일일이 언급하며 감사와 환영의 뜻을 전하고 무엇보다 여전히 건강한 모습으로 이 자리에 함께 해 주는 참전용사들 그리고 그 가족들에게 감사한다고 말했다. 또한 바로 전날 들려온 특별한 소식, 바로 한화디펜스가 레드백 보병전투장갑차를 생산 공급하기로 최종 결정이 났다는 내용을 전하며 여러분이 희생으로 지켜준 대한민국이 이만큼 성장을 했고, 앞으로 양국의 우호관계는 더욱 발전하게 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