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승완의 20년 관록이 빚어낸 쾌감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류승완의 20년 관록이 빚어낸 쾌감

sk연예기자 0 302 0 0
<밀수>는 '류승완이 류승완했다'는 하나의 문장으로 정의 가능하다. 그건 두 가지다. 흥행사로서의 면모와 데뷔 20년이 넘은 작가로서의 관록.
 
먼저 흥행 감독으로서의 약사부터. <베테랑>(2015)은 1341만을 동원했다. 전체 영화 흥행 역대 8위, 한국 영화 역대 흥행 5위다. 류승완 감독이 이때부터 여름 텐트폴 시장에 진입했다. 다음은 <군함도>(2017)다. 영화 안팎의 외우내환을 겪으며 695만을 동원했다. 이어 제작자로 이름을 올린 <엑시트>(2019)의 942만 흥행도 여름이었다.
 
그리고 <모가디슈>(2021)다. 코로나19 팬데믹의 한가운데서 개봉을 고집, 마스크 쓴 관객 361만을 극장으로 불러 모았다. 한국영화 흥행 1위였고, 그해 12월 개봉해 556만을 끌어 모은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이전까지 전체 흥행 1위를 고수 중이었다. <모가디슈> 외에 박스오피스 톱10 중 한국영화는 219만을 동원한 <싱크홀>이 전부이었다.
 
펜데믹이 아니었다면 단연 '천만'각이란 탄식이 자자했다. 전문가와 대중 공히 재미와 의미 두 측면에서 모두 만족을 표했다. 저 멀리 동아프리카 대륙에서 벌어지는 분단이란 비극의 축소판이나 소말리아 내전을 뚫고 가족과 동료를 구출하고자 하는 이들의 분투,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감탄할 만한 액션 설계까지.
 
류승완 감독은 <모다디슈>로 2000년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로 데뷔해 20년이 넘도록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장르와 액션영화의 장인으로 인정받는 류승완표 활극의 정점을 찍었다. 그럼에도 극장가에 불어 닥친 팬데믹 여파가 <모가디슈>에 허락한 숫자는 딱 거기까지였다.
 
그리고 <밀수>가 왔다. 류승완 감독이 여름시장 빅4의 포문을 열게 됐다. 순제작비는 175억~180억, 손익분기점은 350만 명으로 알려졌다. 영화계는 류승완이란 이름값에 더해 <범죄도시3>에 이은 <밀수>의 흥행 성공이 팬데믹 이후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국영화를 구원할 신호탄이 되길 기대하는 눈치다. 
 
그 가운데 지난 26일 개봉한 <밀수>의 첫날 스코어는 32만 명. 지난해 같은 기간 개봉, 726만을 동원한 <한산: 용의 출현>의 첫날 성적인 38만에 살짝 못 미친다. 최근 시사회에서 류승완 감독이 한 말마따나, 한국영화가 언제 어렵지 않은 적이 있었던가. 그럼에도 침체된 극장가 분위기를 살리기엔 부족함이 없을 기분 좋은 출발인 건 맞다.
 
확실히 관객들 분위기가 달라졌다. 최근 <엘리멘탈>과 같이 비슷한 눈높이를 가진 관객들의 평을 살피고 안심하는 분위기 속에서 흥행의 뒷심을 발휘하는 경우들이 늘고 있다. <밀수>도 <베테랑>부터 <모가디슈>까지 류승완의 이름값을 기억하는 관객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여기서 두 번째 정의. 결론적으로 <밀수>는 긍정적인 의미로, 문자 그대로 '류승완이 류승완'한 작품이다. 
 
후반부 액션의 연쇄가 주는 궁극의 쾌감
IE003179497_STD.jpg?20230728094455
 
감독이 본인도 보고 싶은 단 한 시퀀스로 출발해 영화 전체를 끌어가는 작품들이 있다. 독창적이고 영화적인 동시에 단편적인 상상력을 발전시키는 경우. 개인적으론 김지운 감독의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2008) 속 정우성이 장총을 쏘아대며 만주 벌판을 달리는 장면을 꼽곤 한다. 사실 대부분의 영화들이 한 줄의 로그라인(한 문장으로 요약된 줄거리)에서 시작되곤 하지만 말이다.
 
그 반대도 있다. 보면서도 황홀한 단 하나의 한 장면, 하나의 시퀀스가 영화 전체를 살리는 경우. 수많은 액션영화를 포함해 명장면이, 배우가 작품을 실리는 경우들은 부지기수라 딱히 예를 들지 않아도 될 것이다. 거장의 범작이라도 이런 장면은 반드시 인장처럼 반짝이기 마련이다.
 
<밀수>는 이 두 가지 경우를 모두 충족시키는 좋은 예다. '70년대 해녀들이 밀수를 하다 사건에 휘말린다'라는 매력적이고 신선한 <밀수>의 한 줄 요약은 류승완 감독에 대한 신뢰가 더해져 기대감을 키운다. 거기에 후반부 쉬지 않고 달리는 액션과 사건의 연쇄는 류승완 감독만이 줄 수 있는 쾌감의 결정체다.
 
특히 권 상사(조인성)이 장도리(박정민) 패거리와 맞붙는 호텔 액션신은 '성룡 키드'(심지어 밀수선의 이름도 맹룡이다)를 자임해왔던 류 감독이 <베테랑> 이후 선보인 최고의 액션이라 자부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다. 후술하겠지만 류 감독은 다소 '쎈' 이 액션 시퀀스 하나에 단순히 치고받는 오락으로서의 기능을 넘어 캐릭터의 성격과 관계, 서사의 향후 전개를 응축하는 경지를 보여준다.
 
여기에 이어지는 해녀들의 목숨을 건 분투 장면은 성룡이 <폴리스 스토리 4>에서 시도했던 수족관 수중 액션을 뛰어넘는다. 어느 컷 하나 허투루 하지 않으면서 긴장감과 액션의 쾌감, 드라마적 이음매를 온전히 결합시킨다. 단언컨대, <밀수>의 후반부 수중 액션은 한국영화 사상 단 한 번도 본 적 없는 몰입감과 완성도를 선사한다. 앞서 언급한대로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 속 만주벌판을 <밀수>는 바닷 속으로 옮겨놨다고 보면 틀리지 않을 것 같다.
 
류 감독이 작정하고 도전한 수중 장면을 포함한 후반부 액션과 사건의 연쇄는 스크린으로 볼 때 더 증폭되는 영화만이 줄 수 있는 짜릿함을 만끽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 말로 '시간 순삭'은 기본이다. 후반부 강탈극 특유의 전개와 액션은 스크린의 화면 비가 달라지는 것도 모를 만큼 빼어난 몰입도를 선서한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