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기심보다 사회적 공감을 더 중시했다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 이기심보다 사회적 공감을 더 중시했다

KOR뉴스 0 154 0 0

‘경제학의 아버지’라는 애덤 스미스(1723~1790)가 태어난 지 올해로 300년 됐다. 고향인 영국 스코틀랜드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스미스를 기념하는 세미나와 심포지엄이 잇따른다. 그중 하나가 26일 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와 금융연구원 주최로 열린 ‘애덤 스미스 경제학의 현대적 재조명’ 심포지엄이다. 심포지엄에서 기조 발제를 맡은 김광수 성균관대 교수는 30년 넘게 애덤 스미스만 외길로 파고든 학자다. 김 교수는 스미스 모교인 글래스고대에서 애덤 스미스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2020년엔 대한민국 학술원상을 받았다. 지난 19일 김 교수를 만나 애덤 스미스의 진짜 모습과 한국 경제에 주는 함의에 대해 들어 봤다.

애덤 스미스를 30년 넘게 연구해 온 김광수 성균관대 교수를 지난 19일 성균관대 다산경제관에 있는 연구실에서 만났다. 김 교수는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