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인협회가 제정한 조연현문학상의 실체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한국문인협회가 제정한 조연현문학상의 실체

해외뉴스 0 1131 0 0
IE003166084_STD.jpg?20230619094544
 
10대와 20세 전후는 3·1운동, 4·19혁명, 6월항쟁과 2016년 촛불혁명 등에서 큰 역할을 했다. 이 세대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역사의 물꼬를 트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일찍부터 기득권을 편들며 세상의 발전을 저해하는 이들이었다. 일제강점기 막판에 20대 남자 친일파로 맹활약한 조연현도 그런 사람이었다.
 
유관순이 18세 나이로 순국하기 2개월 이틀 전인 1920년 7월 26일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출생한 조연현은 함안공립보통학교·배재중학 등을 거쳐 혜화전문학교(훗날의 동국대)에서 수학한 뒤 시인·비평가·언론인으로 성장했다.
 
그는 18세 때인 1938년에 배재중학을 졸업한 뒤, 친일파 방응모가 창간한 대중잡지인 <조광>에 '하나의 향략'이란 시를 발표했다. 이렇게 문단에 데뷔한 다음, 스무 살을 갓 넘은 시점부터 문학비평 분야에서 친일파로 두각을 나타냈다.
 
그가 출생한 함안군 바로 위쪽에 창녕군이 있다. 여기서 1929년에 출생하고 한국 친일파 연구의 토대를 닦은 임종국은 한일협정 이듬해인 1966년에 발간된 <친일문학론>에서 조연현 또래의 문인들을 일제강점기 말기의 '신진 작가들'로 묶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인 1941년, 일본의 진주만 기습으로 태평양전쟁(대동아전쟁)이 발발했다. 이 시기를 전후해 활동을 개시한 문인들이 임종국이 말한 신진 작가들이다. 임종국은 이들의 특징과 관련해 "1941년 전후로부터 등장한 작가들이 기성 작가들과 구별되는 가장 근본적이요 뚜렷한 차이점은 그들이 조선의 특수성 문제를 별로 논의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라고 정리한다.
 
한국 문학을 일제 어용문학인 국민문학으로 바꾸는 일은 임종국의 표현에 따르면 "4천년의 전통을 해소하고 2600년 속으로 융화"시키는 일이었다. 4천년이 넘는 한민족의 전통을 왜곡하고 이를 일본의 전통 속으로 쑤셔넣자면, 최소한 '조선의 전통'이 무엇인지는 당연히 알고 있어야 했다.
 
국민문학 제1기 세대인 친일파 이광수(1892년생)나 최재서(1908년생) 등은 그것을 고민해보기라도 했지만 조연현 같은 신진 작가들은 그런 의식마저 없었다고 임종국은 지적했다. 그는 신진 작가들을 민족의식이 마비된 세대로 규정했다. 이 시기에 글을 쓰기 시작한 모든 청년 문인들의 민족의식이 마비됐다는 게 아니라, 이 시기 문단에서 특별히 부각된 청년 문인들의 특징이 그러했다는 의미다.
 
"3·1운동을 전후하면서 출생한 이 세대들은 거개가 지나사변 밑에서 전문교육을 받았고 국민문학의 성장 속에서 문학을 공부했으며, 또한 제1기생들에 의해서 국민문학의 정지 작업이 끝난 후 데뷔한 사람들이었다."
 
신진 작가들은 1919년을 전후해서 태어났지만 이 운동의 역량이 약해지는 시기에 성장했다. 그런 다음, 일본의 대륙침략에 가속도가 붙은 1937년 중일전쟁 이후에 지금의 고등학교 수준인 전문교육과 문학교육을 받았다.
 
거기다가 이광수·최재서 등이 "4천년"을 "2600년" 속에 쑤셔 넣은 뒤였다. 그래서 "4천년"에 대해 크게 고민할 필요 없이 친일 대열에 들어갈 수 있었다. 그들이 한국적 특수성에 대한 고민도 거의 없고 민족의식도 희박했던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이라는 게 임종국의 분석이다.

일본 국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문학 비평하는 인물
 
조연현의 문제점이 그런 데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친일인명사전> 제3권 조연현 편에 인용된 '아세아 부흥론 서설'을 읽어보면, 그가 대동아공영권론을 찬미하는 데 급급해 문인의 기본 자질마저 무시하고 살았음을 느낄 수 있다.
 
1942년에 발표된 '아세아 부흥론 서설'은 미술평론가이자 교육자인 오카쿠라 텐신(岡倉天心, 1863~1913)의 논리를 이용해 대동아공영권의 당위성을 설명하는 글이다. 그런데 이 글은 오카쿠라 사상의 맥락을 정확히 소개하지 않고 왜곡해서 전달했다. 간단한 확인만으로도 쉽게 알 수 있었던 것을 잘못 인용했으니, 그가 문학보다는 정치적 필요에 더 치우쳐 있었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2008년에 발행된 <종교와 문화>에 수록된 최유경 서울대 객원연구원의 논문 '오카쿠라 텐신의 아시아통합론과 불교'에 따르면, 오카쿠라는 <동양의 각성>이란 글에서 반제국주의적 관점으로 아시아의 통합을 역설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