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술과 그의 시대' 학술회의... "역사학 연구 성찰 계기"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이관술과 그의 시대' 학술회의... "역사학 연구 성찰 계기"

해외뉴스 0 1402 0 0
IE003171564_STD.jpg?20230630092252
 
일제강점기 1930년대 이후 사회주의 독립운동에 나섰고, 해방 후에는 조선공산당 재정부장을 맡던 중 조선정판사 사건으로 미군정에 의해 구속됐다가 한국전쟁 발발 직후 군경에 의해 총살당한 이관술의 삶과 시대를 재조명하는 학술회의가 개최됐다.

수선사학회와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는 29일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소향강의실(6층)에서 '이관술과 그의 시대'라는 제목의 공동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학술대회를 공동주최한 수선사학회 김경호 회장과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오제연 소장은 학술회의 모시는 글을 통해 "이 학술대회는 사회주의를 배제하거나 저평가해 온 기존의 역사학 연구에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한 의의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한국 근대사와 독립운동사 연구의 문제 지평을 확장하는 현장이 되리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학술회의는 네 개의 주제로 나누어 이관술의 삶과 시대를 종합적으로 재조명했다. 첫 번째 발제로 나선 한국사회조사연구소 박한용 연구원은 반제동맹사건을 중심으로 이관술의 삶은 살펴봤다. 이관술은 동덕여고에 재직하던 1932년 10월부터 반제동맹 결성에 참여를 했다. 그러던 중 1933년 1월 '경성반제동맹 사건'으로 검거·수감됐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