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와 흥국은 왜 '꼴찌'가 되려고 했을까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GS와 흥국은 왜 '꼴찌'가 되려고 했을까

대박기자 0 662 0 0
지난 5월 17일(한국시각) 세계 농구팬들의 관심은 2023 NBA 신인 드래프트 로터리픽 추첨행사가 열린 미국 시카고에 집중됐다. 신인지명도 아닌 지명순서를 결정하는 행사가 이처럼 많은 주목을 받은 이유는 바로 2023년 신인 드래프트에 르브론 제임스(LA레이커스) 이후 최고의 재능으로 불리던 빅터 웸반야마가 참가하기 때문이었다. 추첨 결과 샌안토니오 스퍼스가 1순위 지명권을 얻어 226cm의 '괴물신인' 웸반야마를 지명했다.

국내 프로농구와 프로배구에서도 추첨을 통해 신인 지명 순서를 결정한다. 지난 2016-2017 시즌과 2018-2019 시즌 여자프로농구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KB스타즈와 우리은행 우리WON이 1순위 지명권을 얻어 '고교 최대어'로 불리던 박지수와 박지현을 지명한 바 있다. 특히 2018-2019 시즌 신인 드래프트 당시 우리은행은 무려 4.8%(1/21)의 낮은 확률을 뚫고 박지현을 지명하는 행운을 누렸다.

이처럼 지금은 추첨을 통해 신인 지명순서를 결정하지만 V리그 출범 초기만 해도 전 시즌 성적의 역순으로 신인 드래프트 지명 순서가 결정됐다. 이 때문에 그해 고교무대에서 대형유망주가 등장하면 하위권에 있는 팀들끼리 서로 꼴찌를 하기 위해 경쟁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실제로 V리그 원년에는 우승경쟁보다 더욱 치열했던 GS칼텍스와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불꽃 튀는(?) 최하위 경쟁이 있었다.

혜성처럼 등장한 '여고생 국가대표' 김연경
IE003176273_STD.jpg?14
 
GS칼텍스는 1990년대 호남정유와 LG정유 시절, 이도희 세터와 장윤희(중앙여고 감독), 홍지연(추계초등학교 감독), 박수정, 정선혜로 이어지는 호화 멤버를 앞세워 겨울리그 9연패라는 전인미답의 금자탑을 세웠다. 하지만 1990년대 말, IMF 금융위기로 인해 SK 케미칼과 한일합섬 같은 기존의 실업팀들이 해체됐고 현대건설은 강혜미와 장소연(SBS스포츠 해설위원), 구민정 같은 현역 국가대표 선수들을 대거 영입해 '드림팀'을 구축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