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죽이는 교육이 아니라, 살리는 교육을 하자"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사람을 죽이는 교육이 아니라, 살리는 교육을 하자"

해외뉴스 0 412 0 0
오키나와 기독교 대학의 학장이 재일동포 2세라는 소식을 들었다. 오키나와에서 학장이 된 그의 이야기가 궁금했다. 마침 공평해프로젝트 팀이 평화 항해를 위해 요트를 타고 제주에서부터 부산을 거쳐 오키나와까지 도착했다. 지난 7월 26일, 공평해프로젝트 팀이 김영수 오키나와 기독교 대학 학장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IE003184329_STD.jpg?62
 
20년 만에 학장이 된 재일동포

그는 고베와 오사카 사이에 있는 니시노미야라는 곳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서울의 장로교 신학대학교에서 석사, 샌프란시스코 신학교에서 목회학 박사 학위도 받았지만, 예정된 교회에 가지 않았다. 마침 오키나와에 있는 친구가 이 대학에서 교수를 모집하고 있다고 했다. "2000년에 지원했다. 기대하지 않았는데 합격했고, 얼마 안 있다가 종교 부장이 되어 기독교 행사를 주관하게 되었"다.

이후 평화와 관련된 그의 행보는 활발했다. 교목실(대학의 기독교적 건학이념을 구현하는 역할을 담당)을 통해 학생들과 함께 오키나와, 일본을 벗어나 대만 우서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 <워리어스 레인보우>에서 나온 원주민들이 사는 고산지대도 가고, 화련 아미족(해상부족)을 만나는 등 넓은 의미에서 역사 공부를 나누었다.

그는 "한국에 있는 나눔의 집과 같은 한일 역사가 관련된 장소나, 요즘에는 한국 젊은이들도 안 간다고 하는 (3·1 운동이 시작된) 파고다 공원에 가기도 했다"며 웃었다. 강정마을에는 학생들과 같이 가지는 못했고, 따로 3~4번 정도 갔다고 했다. 김 학장은 "지금은 한국어를 가르치는 수업이 있지만 내가 이 학교에 오기 전에는 없었다"며 2004년부터 한국어를 가르치게 됐고, 이 학교에 교수로서 20년간 세월을 보내고 학장이 된 지는 3년이 되었다고 설명했다. 

콜레라, 한국전쟁으로 한국 못 간 부모님

1957년생인 그의 부모님은 대구 출신이다. 아버지는 일거리를 구하려다 보니 일본말을 배워야 했고, 유학 삼아 잠깐 일본에 가게 되었다고 한다. 이어 어머니까지 넘어갔다. 해방 후 그의 부모님은 한국으로 돌아가려고 준비했으나 부산에 콜레라가 생기고, 애들이 태어나고, 한국전쟁이 터지면서 귀국을 포기했다. 

아버지는 오사카에 있는 병원에서 치과기공사를 했다. 강제노역으로 온 사람, 일자리를 구해서 온 사람들이 시모노세키를 통해 들어와 흩어졌고, 해방 후 한국으로 돌아가려고 다시 동포들이 시모노세키로 가려다가 다다르지 못한 채 오사카, 고베 쪽에 자리를 잡게 되었다. 

그는 "청년 시절에는 무난하게 보냈던 것 같다"고 회상하면서도 "되돌아보면 역시 아주 불안할 때도 있었고, 위험한 시기도 있었다"고 말했다. "일본 사회는 여전히 재일동포에 대한 차별이 심하다"며 어떤 사건이 있어서가 아니라 사회적인 구조가 만들어 놓은 차별의 분위기가 있다고 했다.

그는 "아직도 '조센징'이라는 말을 굉장히 치욕적인 욕으로 쓰고 있다"며 한 사례를 들었다. 일본의 한 대학교 학장이 "태평양 전쟁의 책임은 천황 폐하에도 있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는데, 불만을 품은 사람이 "당신은 일본 사람이 아니고, 조센징인가?"라고 학장에게 전화를 했다고 한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