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감독의 소신 "우리 정부 보수적, 문화적 면에서 지양해야"

인터넷 뉴스


지금 한국의 소식을 바로 확인해보세요.

일본 감독의 소신 "우리 정부 보수적, 문화적 면에서 지양해야"

sk연예기자 0 321 0 0
IE003179001_STD.jpg?20230718122818
 
 
10여 년 전부터 자신의 영화로 한국 영화제를 찾았고, 하마구치 류스케, 미야키 쇼 감독과 함께 일본 차세대 감독으로 꼽히는 후카다 코지 감독이 국내 첫 개봉을 맞는다. 영화 <러브 라이프> 개봉을 이틀 앞둔 17일 오전 서울 에무시네마에서 만난 감독은 한국과 일본뿐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의 문화적 교류와 연대를 한껏 강조했다.
 
<러브 라이프>는 1991년 발매된 아키코 야노(Akiko Yano)의 동명 노래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다. 집에서 갑작스러운 사고로 아들이 사망한 후 전 남편과 현 남편 사이에서 관계 재정립을 하게 되는 타에코라는 여성의 정서적 변화가 핵심축이다. 아이의 친부인 전 남편이 청각장애가 있는 한국인이라는 설정이 흥미롭다. 아이가 태어나고 돌연 사라진 전 남편이 아이 장례식장에 불쑥 나타나며 본격적인 이야기가 진행된다.
 
20년 전부터 구상한 이야기
 
"그 노래를 들으며 스토리를 구상했다. 아이와 1년밖에 지내지 않은 현 남편이 슬픔을 타에코와 같은 선상으로 공유할 수 있을까, 그리고 친아빠가 나타나면서 엄마와 같은 슬픔을 공유한다면 어떻게 될까 거기에서부터 시작했다."
 
후카다 코지 감독은 관계성을 강조했다. 캐릭터를 특정 성격으로 정해놓지 않고, 이야기 안에서 각자들이 어떤 관계를 맺으며 나타나는 변화를 포착해갔다고 한다. 영화에선 수어로 전 남편 박신지와 소통하는 타에코, 그런 그녀를 보며 묘한 긴장감과 소외감을 느끼는 현 남편 신지의 모습이 대비된다.
 
"박신지라는 캐릭터는 엄마가 일본인, 아버지가 한국인이다. 영화에서 설명되진 않지만, 신지라는 이름이 일본에서도 흔하다. 한일 양국에서 모두 통하는 이름을 지었다고 생각한다. 특별히 한국인 캐릭터를 넣은 이유는 관계의 거리감을 제대로 표현하고 싶어서였다. 실종된 줄 알았던 박신지를 공원에서 타에코가 우연히 만나잖나. 그를 시부모님 집, 타에코의 집 욕실로 데리고 오며 서서히 거리가 가까워지는데, 영화 후반부엔 가급적 멀리 떠날 필요가 있었다. 일본을 무대로 하면 그 거리감을 제대로 표현하기 어렵기에 다른 문화권으로 보내고 싶었는데 배를 타고 갈 수 있는 국가로 한국이 유일했다.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가부장적 측면이 강한 사회라고 생각한다. 성역할 관련 요구가 강하다. 아버지는 아버지다워야 하고 여자는 여자 다워야 한다는 등 말이다. 그런 사회적 압박감이 종적을 감추게 한 원인이 아닐까 생각한다. 결국 타에코가 기대했던 대로 관계가 흐르진 않는데, 개인적으로 모든 인간관계는 착각과 환상이라 생각한다.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라는 책에서 좋아하는 구절이 있다. 사람은 격리된 고독한 섬과 같은데 말이라는 건 그 고독을 이어주는 환상의 달이라는 내용이다. 고독이 완전 해결되진 않아도 환상이 이뤄진다는 게 중요하다."
  
IE003178728_STD.jpg?20230718122818
 
한국을 일부 영화적 배경으로 놓고 한국인을 등장시킨 게 사람 간 거리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청각장애인 설정은 일종의 긴장감을 위한 수단이었다. 후카다 코지 감독은 "수어가 타에코와 전 남편의 공통언어이고, 현 남편이 그걸 알아듣지 못했을 때 어떤 마음일지 생각하며 썼다"고 말했다. 청각장애인이라는 캐릭터를 두고 감독은 "그런 인물을 영화에 넣은 이유에 대해 종종 질문받는데, 오히려 그런 질문이 나온다는 건 그만큼 장애인들이 영화에 진출하기 어려움을 뜻한다"고 강조했다.
전체 내용보기

0 Comments

인기 동영상



포토 제목

포인트 랭킹


커뮤니티 최근글


새댓글


추천글 순위


섹스킹 파트너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